오는 90년대 후반쯤이면 어느도시 어느곳에서나 CATV방송국을 쉽게
찾아볼수 있을것 같다.
곳곳에서 대형슈퍼마켓이나 소형백화점을 찾을수 있듯 CATV방송국도
생활근린장소 이곳저곳에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공보처는 현재 추진중인 CATV법안제정과 관련해 방송국수를 전국에
2백개이상 둘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보처는 전국행정구역(2백60개)과 전기통신회선설비(전화국 2백31개)등을
참고할때 방송국이 이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시말해 국민들의 생활편의도와 지리적여건등을 감안,CATV방송국도
2백개이상있어야만 지방자치시대에 걸맞는 지역방송으로의 기능을 다할수
있다는 주장이다.
공보처는 이같은 방송구역 분할계획을 법안제정후 내년상반기까지
관계부처와 협의해 시행령에 못박아 놓을 예정이다.
이 구상대로라면 CATV방송국은 서울에만도 40개정도에 이르게 된다.
또 남북한이 하나의 "통일한국"으로 될 경우 자체적으로 5백개 가까운
CATV방송국이 생길수도 있다는 설명이 가능해진다. 한마디로 엄청난 수가
되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공보처의 구상에 반대입장이다. 이들은 방송국이
지나치게 많다며 공보처가 방송구역분할을 신중히 재검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의용서울텔레콤상무는 최근 한국방송학회주최 토론회에서 반대의견을
분명하게 나타냈다.
그는 우선 일본이 몇해째 CATV사업을 영위하면서도 전체가입자가
40만가구를 밑돌고 있다며 방송국의 채산성을 고려해 수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방송국의 손익분기점을 이루는 가입자단위는 도시형과 취약지의 기준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략 3만5천가구가 되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1개의 지역방송국이 4년정도에 3만5천가구를 확보하려면
프랜차이즈(특약사업권)지역에 적어도 20만가구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20만가구를 기본구역으로 적용할때 시장이론상 전국에 40개정도의
방송국이면 경제단위를 이룰수 있다는 계산이다.
결국 공보처의견대로 전국에 2백개의 방송국이 들어서면 1개방송국에
가구수가 4만가구에 불과해 가입자를 3만5천가구쯤 확보하려면 10년이상이
걸릴지도 모른다.
공보처가 서울에 40개정도의 방송국을 두려는 생각도 납득이 가지않는
부분이다.
90년 인구센서스에 의하면 서울시 가구수는 약2백80만가구이다.
총주택수(아파트 다세대주택포함)는 1백50만호로 집이없는 가구수는
1백30만가구 정도이다.
따라서 1백50만주택을 40개방송국 지역으로 나눌경우 3만7천여주택이 되고
이들을 거의 모두 가입자로 확보해야할 형편이다.
CATV방송국참여를 희망하던 많은 중소기업들이 서울을 40여개 방송국으로
쪼갠다는 얘기를 듣고 채산성을 이유로 사업을 포기한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CATV는 지역의 공동문화생활권을 하나로 묶는다는 취지아래 그에 알맞는
방송국수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성공적으로 CATV사업이 진행되는 미국을 보더라도 우리의 경우와는
크게 다르다.
뉴욕이 당초 5개의 방송국으로 출발했다가 지금은 하나로 통합됐고 시카고
2개,휴스턴 4개,인구 10만명의 소도시 블루밍턴은 1개뿐이다.
일본의 경우 오비히로시티케이블이 인구 18만명의 도시에서 5년6개월동안
마케팅한 결과 겨우 8천명을 확보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CATV방송국수를 대폭 줄여 아무리 많더라도 1백개정도에
그쳐야 할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지나친 지역분할로 채산성도 맞지않고 공동생활권을 또 쪼개어 부작용을
초래하기 보다는 우리실정에 맞는 적정방송국규모가 새롭게 정립되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