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폐기물 문제 뚫리나…스위스 "핵 변환 기술, 세계 최초 승인"

스위스 당국이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핵 변환' 기술을 승인했다. 그간 연구 영역에 머물러 온 기술이 정부 차원에서 인정된 최초 사례다.

스위스의 핵 폐기물 관리 기관 나그라(Nagra)는 25일(현지시간) "핵 변환 기술을 통해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양을 8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핵 변환은 한 원소를 다른 형태의 동위 원소나 다른 원소로 변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과거 연금술사들이 흔한 금속을 금으로 만들려던 시도에서 착안해 40여년 전부터 원자력 폐기물 관리에 응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기구는 "현재 여러 국가에서 핵 변환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위스 나그라는 제네바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 트랜스뮤텍스가 개발한 핵 변환 기술을 몇 개월 간 검토한 결과 원전에서 나오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80%까지 감축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트랜스뮤텍스는 입자 가속기와 반응기로 플루토늄이나 기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남기지 않는 금속인 토륨과 중성자 입자를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우라늄 동위 원소가 생성되고, 해당 동위 원소가 핵분열을 일으켜 에너지를 방출하게 만들었다.

나그라는 트렌스뮤텍스의 핵 변환 기술이 방사성 폐기물의 방사능 지속 기간을 500년 미만으로 줄일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부피도 크게 감축시킨다고 판단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핵 변환 기술의 높은 초기 비용이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스위스 당국의 인정은 핵 변환 기술의 실현 가능성이 입증될 수 있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