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엔 널린 게 구리라는데…구리 폭등세 이유에 '패닉' [원자재 포커스]

美공매도 세력이 불붙인 구리 패닉장
"지역별 수급 불균형 해소되면 가격 안정화" 전망

최근 구리 가격이 사상 최고치로 폭등한 배경에는 미국에서 발생한 공매도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구리 급등세는 특정 지역에서의 수급 불균형이 문제일 뿐 전 세계적으로 구리 공급이 고갈된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중국에선 최근 구리 재고가 급증하고 있다.지난 20일 영국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구리 가격이 t당 1만1104.5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현재 t당 1만447달러로 내려앉으며 소폭 안정화되긴 했지만 여전히 사상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이는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진행된 공매도 투자 때문"이라고 전했다.
지난달 4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 항구에 있는 한 창고에 수출용 구리가 쌓여 있다. 사진=REUTERS
CME에서 향후 구리 하락을 점치고 공매도 투자에 나선 세력이 예상치 못한 구리 상승세에 직면하자 반대매매를 통해 매도 포지션을 청산하는 쇼트커버링(환매수)에 나서면서다. 현재 거래자들은 영국 LME에서 미국 CME 창고로 구리를 대거 운송해 공매도 포지션을 커버하려 하고 있다. 이 같은 공매도 패닉 탓에 구리 가격은 올들어 27% 상승하고 있다. 여기에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위한 구리 수요 증가까지 더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구리가 부족한 것은 아니다. 세계 최대 구리 소비국인 중국에는 구리 재고가 충분하다. 상하이 선물 거래소(ShFE)에 등록된 재고는 지난주 말 기준 29만1020 t이다. LME의 10만5900 t, CME의 1만8244 t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이는 현재 CME에서의 쇼트커버링 사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지만, 세계적으로 구리 생산량이 여전히 충분하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이는 중국에서 구리 수요가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에서 와이어나 튜브를 제조하는 업체들의 구리 수요가 급격히 줄었다. 반면 수입량 및 중국 국내 생산량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높은 구리 재고량이 유지되고 있다. 중국의 정제 구리 수입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급증했다. 올해 첫 4개월 동안 누적 수입량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125만 t에 달했다. 높은 재고와 고가로 인해 '양산 프리미엄'이 하락했다.

중국 상하이 인근의 양산 항구에서 구리를 수입할 때 지불하는 프리미엄으로, 양산 프리미엄이 하락하면 중국의 구리 수입 수요가 약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양산 프리미엄은 t당 마이너스 5달러로, 마이너스 지표는 2013년 관련 집계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로이터는 "이처럼 구리 공급량은 전 세계적으로 충분하다"며 "최근 구리 폭등세는 세계 각국의 구리를 CME 창고로 이동시켜 고갈된 재고를 보충할 수 있다면 수급 및 가격 불균형이 해소되고 안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