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짐펜트라 하나로 매출 4.5兆 도전"

유럽서 대박난 SC제형 치료제
"美 염증성 장질환 시장도 공략"

서 회장 "7월 대규모 마케팅"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소화기질환학회(DDW)의 셀트리온 부스를 찾아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사진=오현아 기자
“미국 염증성 장질환 환자 30만 명 중 내년까지 15만 명(50%)에게 우리 신약(짐펜트라)을 공급하는 것이 내부 목표입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21일(현지시간)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3월 미국에서 출시한 피하주사(SC)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의 향후 매출 목표치를 4조5000억원으로 높게 잡은 배경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 “짐펜트라, 4조원 블록버스터 될 것”

셀트리온의 올해 짐펜트라 예상 매출은 5000억원이다. 서 회장은 “짐펜트라는 이미 3년 전 유럽에 출시한 제품으로 셀트리온은 유럽 염증성 장질환 항체치료제 시장에서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며 “미국 환자들이 오랫동안 기다려온 약”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경쟁 약물은 대부분 정맥주사(IV)제형이어서 병원에서 수 시간 동안 투약받아야 하지만 짐펜트라는 SC제형이어서 집에서 자가 주사가 가능하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유럽에서 짐펜트라(유럽제품명 램시마SC)가 불티나게 팔린 이유다. 서 회장은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셀트리온의 미국 직접판매망은 ‘보병’, 각종 세미나 개최는 ‘포병’, 광고는 ‘공중전’으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투’ 비유를 들었다. 그는 또 “오는 7월 대대적인 TV·유튜브 마케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했다.

미국 대형병원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개별 제품단위가 아니라 제품군별로 대량 공급을 협상하는 ‘번들링(결합) 판매’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내년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5종이 출시되면 총 11종의 제품군을 갖추게 된다”며 “류머티즘 관절염, 장질환 관련 치료제를 모두 갖추게 돼 이 분야에서 세계 의료재정의 15~20% 시장을 확보할 기회가 생긴다”고 했다.

○ 서정진, 美 의사 직접 만나 마케팅

서 회장은 지난 2월부터 석 달 동안 미국에 체류하며 직접 발로 뛰면서 현지 영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그는 “시카고에서 아침 7시 비행기를 타고 애틀랜타를 경유해 뉴올리언스로 가서 현지 의사들과 점심 미팅을 하고 다음날 자동차로 3시간 이동해 의사들을 만난 뒤 다시 내슈빌로 건너가 현지 미팅을 소화했다”며 일부 일정을 공개했다. 하루에 최소 4개 병원을 돌고 40명의 의사를 만나, 한 달에 800명씩 연내 북미 전역 7500명을 만나는 것이 목표다.

서 회장은 “보통 도시락을 싸들고 의사 한 명을 만나기 위해 환자 대기석에서 기다린다”며 “의사가 점심을 먹는 사이 우리는 서서 발표한 뒤 남은 도시락을 먹는다”고 했다. 시가총액 40조원을 넘는 그룹 오너로서 미국 시장에서 사활을 걸기 위해 영업 밑바닥부터 다지고 있는 것이다. 그는 “현장에서 고객(환자와 의료진) 목소리를 들으니 제품 개발 전략에 큰 도움이 됐다”며 “고객 역시 기업 오너가 즉석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니 높은 신뢰감을 보였다”고 했다.서 회장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와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모두 먹는 약(경구) 제형으로 개발 중이며 스텔라라 임상 1상 결과는 상당히 좋고, 휴미라 임상 1상은 연내 들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R&D비용 부담으로 이중 한 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짐펜트라의 경우 하반기 미국내 추가 판매망 확보(PBM 등재)가 가능하고 류마티스관절염분야로 적응증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신약개발은 장남 서진석 셀트리온 대표가 주도하고 해외 영업은 서 회장 자신이 총괄하며, 경영 전반은 기우성 부회장이 맡는 식으로 역할을 분담했다고도 했다.

워싱턴DC=오현아/안대규 기자 5hy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