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은 공짜야" 인식 탓에 눈물의 치킨 게임하는 사립미술관들

[세계도시는 문화전쟁-100년 문화강국으로 가는 길]
⑧'공짜 전시'의 그림자
국공립 미술관의 기형적인 재정 시스템은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몸집이 작은 사립미술관들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국공립 미술관과 박물관의 입장료가 낮게 책정된 탓에, 상대적으로 전시 규모가 작고 입장료가 비싼 사립미술관이 관객을 유치할 매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사립미술관장은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공립 미술관과 박물관은 적자에도 버틸 수 있지만, 입장료 수익에 의존해야 하는 사립미술관은 견딜 재간이 없다”며 “국공립 기관의 ‘공짜’ 입장료가 업계에 ‘치킨 게임’을 불러일으키는 셈”이라고 하소연했다.미디어아트, 일러스트레이션 전시, 패션 브랜드 컬래버 전시 등에는 3만~5만원에 달하는 입장료가 책정되도 관람객들의 거부감이 없는 반면, 미술 관람의 꽃인 명작 원화전에는 2만원만 넘어도 모객에 어려움을 겪는다. 낮은 입장료로 인한 업계의 적자 규모 확대는 전시 수준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서울 소재 한 사립미술관이 개최한 미국의 유명 사진작가 개인전은 형편없는 전시 구성으로 비판받았다. A4용지 크기로 인쇄한 사진 몇장, 작가 관련 영상 몇점과 뜬금없는 설치물 2개가 전부였다. 남아도는 전시장 공간은 작가의 명언을 적어놓은 타이포그래피가 채웠다. 입장료는 2만원이었다. 미술관 측은 “누적된 적자로 인해 작가의 주요 작품을 국내에 들여올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앙리 마티스전’ ‘데이비드 호크니전’ ‘알폰스 무하전’ 등의 거창한 이름을 걸어놓고 수준 낮은 판화만 걸려 있는 ‘돈벌이 전시’가 최근 몇년 새 부쩍 들었다. 정준모 미술평론가는 “한국 미술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려면 일반 대중들이 수준 높은 전시를 많이 접할 수 있어야 한다”며 “전시에 대한 실망감이 쌓이다보면 미술에 대한 관심 자체가 식을 수 있고 여전히 값싼 예술의 장르라고 여길 수밖에 없다”고 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경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캡쳐
국내 문화 소외계층을 위해 국공립 미술관과 박물관의 낮은 입장료를 유지하더라도, 적어도 외국인한테만큼은 입장료를 올려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국보급 유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해외 관광객들한테 ‘제값’을 받아야 한다는 이유다.

이집트 유물과 현대미술을 전시하고 있는 그랜드이집트박물관의 자국민 입장료는 150이집트파운드(4300원), 외국인 성인의 입장료는 이보다 7배가량 비싼 1000이집트파운드(2만8680원)다.

김보라/안시욱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