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송금 수사 속도 붙는다

檢, 경기도청 등 10곳 압수수색
이화영·김성태 다시 불러 조사
검찰이 쌍방울그룹의 불법 대북송금 수사를 위해 경기도청과 킨텍스 등 10여 곳을 압수수색했다. 사건의 핵심 인물인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와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도 다시 불러 고강도 조사를 벌였다. 수원지방검찰청 형사6부(부장검사 김영남)는 22일 수원시와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청 남·북부청사에 수사인력을 보내 쌍방울그룹 대북송금과 관련한 자료를 확보했다. 본청사 도지사실과 도지사 비서실, 경제부지사실(옛 평화부지사실), 기획조정실과 북부청사 제2행정부지사실, 평화협력국 등을 압수수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청뿐만 아니라 이 전 부지사가 설립한 동북아평화경제협회와 그가 대표로 근무했던 킨텍스 사무실, 관련자 주거지 등도 강제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수사팀은 이날 이 전 부지사도 소환해 조사했다. 지난 15일 대북송금 사건의 피의자로 그를 불러낸 지 1주일 만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쌍방울그룹을 상대로 한 대북송금 요구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개입 의혹을 집중적으로 추궁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이 전 부지사와 김 전 회장의 대질신문이 이뤄졌다. 측근인 이 전 부지사를 압박하면서 이 대표를 향한 수사망을 좁혀가고 있다는 평가다.검찰은 이 전 부지사가 김 전 회장에게 경기도의 북한 스마트팜 조성비 500만달러를 대신 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수사팀은 지난 3일 김 전 회장을 기소하면서 이 전 부지사를 공범으로 기재했다. 공소장에도 이 전 부지사가 “북한에 스마트팜 비용을 지급하지 않으면 경기도의 대북사업이 어려워진다”면서 김 전 회장에게 비용 대납을 요구했다고 적었다.

검찰은 “북측에 보낸 800만달러 중 300만달러는 이재명 대표의 방북 비용”이란 김 전 회장의 진술도 확보했다.

경기도는 수사기관의 연이은 강제수사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진욱 경기도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해 7월 김동연 지사 취임 후 검찰과 경찰이 총 13차례 압수수색을 벌이면서 도정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김진성/수원=윤상연 기자 jskim1028@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