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핵심은 인재양성, 청년이 기업 선택할 길…정부가 팔걷고 터줘야"

한경·FROM100의 제언
“지금은 양자기술, 블록체인, 메타버스 같은 게 나왔을 때 대학이 함께 움직여주지 못합니다. 산업 정책에 맞춰 인재 양성 공약도 함께 제시해야 합니다.”(이준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

한국경제신문과 함께 공약 검증에 나선 싱크탱크 프롬100 검증위원들은 산업·성장 분야를 뒷받침할 인력 양성 방안이 여야 대선 후보들의 공약에 필수적으로 포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이 교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공약한 ‘채용 연계형 계약학과 확대’ 방안에 대해 “지금은 계약학과를 운영하는 데 규제가 너무 많은데, 규제를 풀어주면서 새로운 산업으로 인재들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건 좋은 아이디어”라고 평가했다. 이 교수는 “산업 정책은 인력 양성과 꼭 함께 가야 하는데,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인재 양성책은 아직 선언적인 수준에 그쳐 아쉽다”고 덧붙였다.

김성환 아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청년이 공무원이나 공사를 준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이 좋은 대우를 받고 기업이나 스타트업 쪽으로 갈 수 있도록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우수 인력 군복무 대체 프로그램’을 언급하면서 “군복무 대체가 한 예가 될 수도 있다. 당장 임금을 올리는 문제를 떠나 기업체를 갔을 때 청년에게 득이 될 수 있는 장치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모종린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성장과 산업 정책을 마련할 때도 양질의 일자리를 최우선 가치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모 교수는 “양질의 일자리는 더 이상 임금의 문제가 아니다”며 “청년이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일하고, 일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일자리가 양질의 일자리”라고 했다. 그는 또 안 후보가 제안한 ‘기술인력 이민제’ 공약을 언급하면서 “개방적인 인재 정책으로 미래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시대에 맞는 공약”이라고 호평했다.

고은이/김소현 기자 kok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