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열'의 대변신…4만가구에 '탄소 제로 열원' 공급하는 SK인천석유화학

150도 미만 저준위 열로 4만가구 공급
200억원 들여 버려졌던 폐열 재활용해
연간 5만t의 이산화탄소 저감 가능
수익 창출도 가능한 지속가능 ESG 사례
이형진 SK인천석유화학 PM이 배관과 열 교환기를 살펴보고 있다. 청라신도시로 난방수가 흘러간다는 방향 표시가 적혀있다. SK인천석유화학 제공
1일 방문한 인천 서구의 SK인천석유화학 공장. 입구로 들어서면 두 개의 큰 파이프가 가장 먼저 눈에 띈다. 하나는 인천·청라의 각 가정에서 냉·난방을 끝낸 물이 들어오는 배관이다. 이 물은 500m 가량 흘러 주요 시설인 파라자일렌 흡착공정(PXU)으로부터 회수한 폐열로 데워진다. 그 후 나머지 파이프를 통해 인천·청라 4만가구가 1년간 이용할 수 있는 냉·난방 에너지로 공급된다. 이 사업은 버려졌던 저준위 열을 재활용해 지역 사회에 품질 좋은 에너지를 공급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사례로 꼽힌다.

연 5만t 온실가스 저감

SK인천석유화학은 2019년 200억원을 들여 PXU에 ‘열원 회수 공정’을 갖췄다. 공정의 핵심은 150도 미만의 저준위 열을 회수하는 것이다. 석유화학업체들은 통상 공정에 사용할 수 없는 낮은 온도인 저준위 열을 모두 방출하지만, SK인천석유화학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 열의 일부를 회수한다. 회사는 저준위 열로 스팀을 발생시켜 배관을 지나가는 물의 온도를 높인 뒤 지역 에너지 회사에 판매하고 있다.이렇게 재활용되는 열의 양은 연 28만기가칼로리(Gcal)다. 37MW급 화력발전소를 1년간 가동해야 발생하는 규모다. 폐열 재활용을 통해 이산화탄소 5만t과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 대기오염물질 연 60t을 감축하는 셈이다.

재활용을 통해 만드는 열의 품질도 우수하다. 지역 난방사는 보통 화력 발전, 쓰레기 소각 등을 통해 열을 공급받는다. 이 중 쓰레기 소각열은 온도가 일정치 않아 난방에 문제가 발생할 때도 있다. 반면 석유화학공장은 24시간 가동되기 때문에 온도와 품질이 일정하다.

SK인천석유화학의 열원 회수 사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ESG 경영을 강화하면서 수익까지 낼 수 있는 지속가능성 때문이다. 회사 관계자는 “수년 내 투자 비용을 회수할 만큼 수익성이 좋다”며 “이를 바탕으로 열원 회수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K인천석유화학은 2단계 사업으로 저준위 열 회수량을 늘려 ‘내부 공정’에도 열원으로 이용할 계획이다.PXU, ISU(이성화공정) 등에 열교환기를 추가로 설치해 내년 말 시운전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14만Gcal의 열을 회수해 연 2만5000t의 이산화탄소를 더 줄일 수 있다. 지금보다 많은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외부에 열원을 추가 공급하는 방안도 지역 에너지사와 검토 중이다.
이형진 SK인천석유화학 PM이 배관과 열 교환기를 살펴보고 있다. 청라신도시로 난방수가 흘러간다는 방향 표시가 적혀있다. SK인천석유화학 제공

“지속가능한 ESG 경영 사례”

SK인천석유화학이 열원 회수 사업화를 떠올린 것은 2010년 중반께 청라신도시 입주가 본격화하면서다. 주민 증가로 열원 공급이 부족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아지자 열원을 외부에 공급해보자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주 업역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에 도움을 주자는 판단 하에 공정 설치에 나섰다.“과거에도 검토했지만 사업화가 어렵다”는 회사 안팎의 반대가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어떤 석유화학 기업도 시도해본 적이 없어 성공 여부를 가늠하기 어려워서다. 복잡한 석유화학 공장에 추가 시설을 설치했을 때 사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SK인천석유화학은 이같은 부정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오랜 연구 및 시뮬레이션 끝에 사업화에 성공했다.

석유화학업계에서는 그동안 SK인천석유화학이 국내 석유화학 공장 중 유일하게 주거지 바로 앞에 있다는 점을 사업상 리스크로 꼽았다. 하지만 지역 사회와 연계한 활동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중심이 되면서 오히려 석유화학 시설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SK인천석유화학 관계자는 “기존에 사용할 수 없던 에너지도 재활용하면 ‘모태 열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석유화학 업계의 인식을 바꾼 것이 이 사업의 가장 큰 수확”이라고 말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