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안정보다 불평등 해소"…각국 중앙銀 '할 일' 많아진다

코로나 이후 역할론 급부상
정부 정책·기후변화·인종 등
여러 이슈에 '목소리' 내며 일조
코로나19 위기 이후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 역할론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중앙은행 본연의 역할인 물가 안정뿐 아니라 불평등 해소와 경제성장 등으로 담당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블룸버그통신은 8일(현지시간) “각국 중앙은행이 수십 년 만에 각자 역할에 대해 전면 재검토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세계 중앙은행이 돈 풀기 통화정책으로 자국 정부의 재정정책과 긴밀히 공조한 끝에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는 데 성공하자, 코로나19 이후 역할론을 고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코로나19 이후 미 중앙은행(Fed), 유럽중앙은행(ECB) 등은 대규모 채권 매입을 통해 재정당국이 차입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비상지출을 늘릴 수 있게 해줬다.블룸버그는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경제위기가 회복되면서 중앙은행은 기후변화, 불평등 억제 같은 사회적 목표를 통합하기 위해 경제구조를 형성하고 넓히는 데 그들의 확장된 역할을 유지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새로운 흐름은 최근 몇 년간 지속된 낮은 물가 상승률 덕분에 가능해졌다.

글로벌 투자은행 도이체방크 자료에 따르면 선진국 중앙은행이 연설에서 불평등을 언급한 비율이 2018년 5.42%에서 2019년 5.78%, 2020년 7.34%, 올해 7.9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에 초점을 맞추던 예전과는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도이체방크의 한 애널리스트는 “최근 몇 년간 중앙은행들이 정부 재정정책과 인종, 젠더 이슈, 기후변화, 불평등 등 다른 다양한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라 바인더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오늘날 상황은 중앙은행이 통화 긴축으로 물가를 잡아주기 원했던 1980년대와는 다르다”고 진단했다. 이어 “금융위기, 코로나19 위기를 겪은 데다 좀 더 적극적인 중앙은행을 원하는 정치적 수요와 맞물리면서 중앙은행이 위기 극복과 경제성장 회복에 일조해야 한다는 그들의 본래 역할로 돌아가고 있다”고 강조했다.유럽중앙은행은 8일 미국과 일본 중앙은행의 기조에 발맞춰 물가 목표치를 ‘2% 바로 밑’에서 ‘2%’로 상향 조정했다. 물가 목표를 높여 더 오랫동안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의미다. 또 일본 중앙은행은 지난달 기후변화 대응 자금을 공급하겠다고 밝히는 등 세계 중앙은행의 역할이 다양해지고 있다. 폴 터커 전 영국 중앙은행 부총재는 “오늘날 우리는 중앙은행 체계에서 보기 드문 접점에 도달해 있다”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