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주목한 'K-방역' 성공비결…"드라이브스루·문화·메르스 경험"

"인구 밀집하고 중국과 이웃국가임에도 성공적으로 통제"
서울의 한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체 채취를 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오스트리아 현지 언론이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에 주목했다.

일간 디 프레세는 23일(현지시간) '한국은 어떻게 바이러스 통제에 성공할 수 있었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적극적 검사와 확진자 추적 △타인을 고려하는 문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얻은 교훈 등을 성공적 방역의 비결로 꼽았다.신문은 한국이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신속하게 검사를 진행해 현재까지 약 230만명이 검사를 받았다고 전했다. 드라이브 스루 검사소도 한국이 처음 도입했다는 사실도 소개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드라이브 스루'(자동차 이동형) 선별진료소 표준 운영 절차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신규작업표준안(NP)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자동차 이동형 선별진료소는 검사 대상자가 자동차에서 내리지 않고 창문으로 문진, 발열 체크, 검체 채취를 할 수 있다.

특히 음압텐트 등 장비 없이 소독·환기 시간을 단축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대규모 검체 채취를 할 수 있어 혁신적인 방역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이 모델의 선별진료소는 지난 2월 칠곡 경북대병원이 처음 도입한 뒤 현재 전국 50여 곳에서 운영 중이다.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가 국제표준으로 최종 제정되려면 각 단계 투표 등을 거쳐야 해 3~5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디 프레세는 스마트폰 위치정보서비스(GPS) 데이터, 카드 사용 내용 등을 통해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 추가 확산을 통제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런 강력한 조치는 국민 대부분이 찬성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검사와 격리, 치료 비용을 건강 보험에서 부담한 점, 주위 사람들에게 병을 옮기지 않는 것을 예의로 여기는 문화적 특성상 많은 국민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점도 주요 요인으로 분석했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 정비한 감염병 관련 법률과 당시 경험을 통해 코로나19 초기 병의 심각성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었던 점도 성공 비결로 꼽았다. 국내에서는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격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독자적 예산권과 인사권이 없는 질병관리본부만으로는 감염병 연구, 역학조사관 인력 확충을 할 수 없는 만큼 감염병 대응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기 때문이다.당시 보건복지부 반대로 무산됐지만 결국 이달 질본은 질병청으로 격상됐다.

디 프레스는 이 같은 이유로 한국이 인구가 밀집하고 코로나19가 처음 보고된 중국과 교류가 빈번한 이웃 국가라는 악조건에서도 바이러스를 성공적으로 통제할 수 있었다고 봤다. 그러면서 "한국의 성공 비결은 마법이 아니다.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작용한 결과"라면서 "재확산으로 다시 봉쇄 조치가 이뤄질지 모르는 유럽에 한국이 교훈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