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무제한 돈풀기' 나선 한은, 환율안정 등 후속조치도 서둘러야

코로나19 사태로 촉발된 초유의 복합위기 돌파를 위해 한국은행이 어제 ‘무제한 돈풀기’ 카드를 꺼냈다. 4월부터 석 달간 금융회사가 보유한 환매조건부채권(RP)을 무제한 매입하는 방식으로 시중에 자금을 공급하기로 한 것이다. RP 매매로 유동성을 쏘아주는 금융회사에 증권사 11곳을 추가하고, 환매대상 채권도 은행채와 한전채 등 8개 공기업채권으로 대폭 확대했다.

제한 없는 RP 매입은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없었던 초유의 조치다. 장기 국채 등 정부 보증채를 매수하는 전형적인 양적완화와는 차이가 있지만, 시장이 필요로 하는 유동성의 전액 공급을 선언했다는 점에서 사실상의 양적완화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무제한 달러를 풀고 회사채와 기업어음(CP) 매입에 개입하는 등 초유의 돈풀기에 나선 것과 달리 소극적 행보를 보였던 한은으로서는 괄목할 만한 변화다.한국은행법상의 한계를 지적해온 한은의 파격 결단은 시장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하지만 초유의 돈풀기가 불러올 위험에 대한 경계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세계 주변부 비기축통화인 원화의 태생적 한계를 감안할 때 무제한 돈풀기가 가뜩이나 불안한 원화가치의 추락을 불러올 위험성도 있다. 외환시장 변동성이 커지면 외국인의 주식 매도를 부추겨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리는 악순환을 빚을 수 있다. 양적완화 소식이 전해진 뒤 증시가 강세로 돌아섰다가 장막판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1% 넘게 하락 마감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한국형 양적완화’라는 초유의 선택을 한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세심한 후속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과거 사례에 비춰 볼 때 무제한 공급된 유동성이 금융회사 내에서만 머물고 정작 자금난에 직면한 기업으로 이전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유동성 확대보다 더 시급한 기업 자금해소를 위한 노력이 시급한 이유다. 시장이 더 절실히 원하는 것은 정부와 한은이 적절한 대응으로 위기의 구세주가 돼줄 것이라는 신뢰를 주는 일이다. 한은과 정부의 합동 플레이가 더욱 중요해졌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