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회적 패권'도 교체하겠다는 여당, 무슨 뜻인가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총선에서 승리해 정권 교체를 넘어 ‘사회적 패권’ 교체까지 완전히 이룩하겠다”고 말했다. 여당 원내 사령탑의 공개 발언이어서 예사롭지 않게 들린다. 올 한 해도 한국 사회에서 한바탕 큰 싸움을 예고한 것처럼 보인다.

무엇보다 이 원내대표는 본인이 말한 ‘사회적 패권’이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교체하겠다는 것인지 정확하고 소상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 이른바 ‘적폐 청산’의 재가동을 뜻하는 것인지, 한발 더 나아가 그를 포함한 ‘586 운동권 세대’가 과거 꿈꿨던 체제 변혁을 의미하는지, 많은 국민이 궁금해하고 의아해할 것이다. 유권자들은 알 권리가 있고, 집권 여당의 원내대표라면 이런 모호한 발언에 대해 명료하게 대답할 책무가 있다.현 정부 들어 우리 사회에는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를 위시해 사법부에 대대적 ‘물갈이’가 있었고, 방송을 중심으로 언론 환경도 급변했다. 민주노총 등 노조세력의 약진 속에 전교조도 합법화의 길로 착착 나아가고 있다. 바뀐 게 교과서나 고등학교의 억지 평준화 정도가 아니다. 공공부문과 ‘시민사회’부터 문화예술계까지 한마디로 ‘좌파·진보’의 대활약에 ‘우파·보수’는 존재감조차 없어질 정도가 됐다.

집권 여당의 지도부라면 실정에 대한 반성이나 사과부터 하는 게 새로운 10년을 맞는 바른 자세 아닌가. 근 3년간 몰아붙인 ‘소득주도 성장’정책에도 불구하고 심화된 양극화, 길 잃은 북한핵 해법과 고립된 외교 등 국정 곳곳이 문제투성이다. 투자와 일자리 감소, 소비와 수출 급감 등 경제는 위험수준인데 미래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도 없이 ‘재정 털어먹기’뿐이다. 집권당의 선거 의지가 과도할수록 정책 대결은커녕 편가르기 싸움만 거칠어지고, 민주적 관행은 물론 실정법까지 무시되는 혼탁 선거가 될 공산이 크다는 사실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정책에서도, 선거에서도 여당의 책무는 그만큼 크고 무겁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