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민노총 불법 파업에 입닫은 민주당

김우섭 정치부 기자 duter@hankyung.com
다음 중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M&A) 과정에서 벌어진 노조의 불법 시위에 어떤 논평도 내놓지 않은 정당은?

①더불어민주당 ②자유한국당 ③바른미래당 ④민주평화당 ⑤정의당정답은 ①번. 집권 여당인 민주당이다. 민주당은 현대중공업에 대한 불법 시위가 본격화한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3일까지 67개의 당·원내대표 회의와 대변인 논평을 냈지만 불법 시위에 대해서는 단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란 단어 자체가 사라졌다. 일부 민주당 의원 사이에선 “당사자 간에 해결할 일”이란 무책임한 발언도 들려온다.

산업현장이 멈춰선 건 무시한 채 친노조 성향의 발언은 빼놓지 않고 있다. 이 기간 노조에 대해 나온 회의·논평은 ‘전교조 합법화’(설훈 최고위원), ‘국제노동기구 핵심협약 비준’(이재정 대변인) 등이었다.

반면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심지어 민주평화당도 민주노총의 불법 시위를 비판했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지난달 30일 “기본과 상식을 안 지키는 노조에 대한 개혁 없이 산업구조 개혁은 불가능하다”고 날을 세웠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와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도 “경제를 망치는 불법 파업은 엄단해야 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보냈다.현대중공업 사태는 집권 여당이 모른 척 지나칠 수 없는 사안이다. 조선업 구조조정에 수십조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이번 M&A를 주도한 것도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다. 국민의 노후 자금인 국민연금도 관련돼 있다. 불법 파업이 길어질수록 피해를 보는 건 국민이다.

민주당 내 반대 의견이 있어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세우기 힘든 여건이란 건 이해할 수 있다.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 본사가 서울에 설립되면서 나빠진 부산경남(PK)의 민심도 생각해야 한다. 하지만 집권 여당이 총선을 의식해 사회 주요 이슈에 대해 눈과 입을 닫아버리는 건 다른 문제다.

“대기업 귀족노조, 그들만의 노동운동” “정부를 길들이려는 파업” “집단이기주의에 빠진 대기업 노조” 등 진보정권임에도 민주노총에 대해 할 말은 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언행도 생각해봐야 할 때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