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야! 놀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15) - '소리적기'와 '형태적기'

한글맞춤법은 ‘우리말을 쓸 때 이렇게 통일해 적자’는 약속이다. 명칭은 법이지만 국회에서 통과된, 강제력을 띠는 법률(law)은 아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고시하는 일종의 사회적 규칙(rule)이다.

한글맞춤법은 모두 57개 항으로 돼 있다. 항목은 많지 않지만 세부적인 내용으로 들어가면 분량이 만만치 않다. 항마다 붙임과 단서 조항이 있다. 게다가 부록으로 문장부호 용법까지 포함하고 있어 웬만한 책 한 권 분량이다. 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큰 줄기를 이루는 원칙이 있다.

맞춤법을 규정하는 기본정신은 총칙 제1항에 담겨 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소리대로 적되, ②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게 골자다. 한글맞춤법의 비밀을 푸는 두 열쇠인 셈이다. 하지만 이 말을 글자 그대로 이해하려고 해서는 의미 파악이 쉽지 않다.우선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는 말은 곧 말을 발음 나는 대로 적는다는 뜻이다. 이른바 ‘소리적기’ 원칙이다. 가령 구름이나 바람, 하늘, 나타나다, 예쁘다 따위의 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으면 된다. 이를 음소주의라고 한다.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은 형태소의 본 모양을 밝혀 적는다는 뜻이다. 이는 ‘형태적기’를 말한다. 우리말은 소리 나는 대로만 적을 수 없는 것이 많다. ‘바람’에 조사가 붙으면 [바라미, 바라믈, 바라메, …] 등으로 발음이 흘러내린다. ‘꽃’은 [꼬치, 꼬츨, 꼬체]로 바뀌고 합성어에서는 [꼰나무(꽃나무), 꼰노리(꽃놀이), 꼰망울(꽃망울)] 등으로 발음이 변형된다. 이를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면 뜻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형태소의 본래 모양을 밝혀 똑같이 유지하도록 했다. 이를 형태주의라고 하고, 이는 맞춤법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대원칙이다.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 공포한 이래 우리말 정서법은 역사적으로 소리적기와 형태적기가 충돌해 왔다. 물론 ‘33년 통일안’에서부터 지금까지 기본적인 흐름은 줄곧 형태주의 원리를 토대로 음소주의를 절충한 것이다.
그런데 형태주의를 바탕으로 한 맞춤법이 일반인에게 어렵게 느껴져 소리 나는 대로 적자는 주장이 끊임없이 있었다. 그러던 차에 1954년 7월 이승만 정부에서 급기야 ‘한글 간소화안’을 발표했다. 음소주의, 즉 우리말을 소리대로 풀어적는다는 게 핵심이었다. 예를 들면 ‘높이’를 ‘노피’로, ‘실없다’는 ‘실업다, 실업서, 실업스니, …’ 식으로 적는 방안이었다. 이런 급격한 개혁안이 나오자 국어학자는 물론 일반 국민 사이에서 대대적인 반대여론이 일었다. 탄원과 청원이 잇따랐다. 국회에서도 이 문제를 다루는 등 커다란 사회적 논란으로 비화됐다. 이른바 ‘한글파동’이다. 2년여를 끌어온 한글파동은 1955년 이승만 대통령이 ‘없던 일로 하겠다’는 취지의 발표를 함으로써 가라앉았다. 1988년 개정 고시된 현행 맞춤법은 소리적기와 형태적기라는 두 원칙을 절묘하게 조합해 놓은 것이다.

Story…이야기와 층과는 무슨 연관이?
배시원 선생님은 호주맥쿼리대 통번역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배시원 영어교실 원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 등 대학과 김영 편입학원, YBM, ANC 승무원학원 에서 토익·토플을 강의했다.
Lastly, she pictured to herself how this same little sister of hers would, in the after-time, be herself a grown woman;
마지막으로 앨리스의 언니는 예쁜 숙녀로 자란 앨리스를 상상해 보았다.

and how she would keep, through all her riper years, the simple and loving heart of her childhood:
아마 앨리스는 어린 시절의 순수함과 천진함, 그리고 사랑스러움을 그대로 간직하리라.

and how she would gather about her other little children, and make their eyes bright and eager with many a strange tale, perhaps even with the dream of Wonderland of long ago:
어린아이들을 모아 놓고 자신이 경험한 이상한 나라 이야기를 들려주며 아이들의 초롱초롱한 눈을 더 반짝이게 할 것이다.

and how she would feel with all their simple joys, remembering her own child-life, and the happy summer days.
또한 어린 시절의 행복한 여름날을 회상하며 아이들의 슬픔도 즐거움도 함께 나눌 것이다.

윗글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힘들고 지칠 때마다, 가끔은 동화 속 세상을 꿈꿔보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야기와 관련된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우선 이야기는 기본적으로 story라고 한다는 것은 다 아실 겁니다. 그런데 단순히 ‘이야기’라고만 외웠던 story에 ‘층’이란 뜻도 있답니다. 과연 층이랑 이야기가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중세 유럽 사람들은 건물 벽에 풍경화를 그린다든지, 전설을 담은 이야기를 새기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또 교회의 각 층마다 벽에 이야기를 담고 있는 그림을 그렸답니다. 하나의 층마다 하나의 이야기. 이제 왜 story에 ‘층’이란 뜻이 있는지 아시겠지요? 그러므로 이제부터는 a house of one story란 영어 표현을 보시면 ‘뭔가 사연이 있는 집’이 아닌 그냥 ‘단층집’ 정도로만 해석하시면 됩니다.

또 우리가 ‘소설’이라고만 알고 있던 단어 novel에도 ‘새로운’ ‘참신한’이란 뜻이 있답니다. 생각해보면 ‘소설’은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이야기를 가리키는 단어잖아요? 그래서 a novel idea가 ‘참신한 생각’이고, a novel design이 ‘기발한 디자인’이란 뜻이 되는 것이랍니다. 참고로 ‘초보자’를 뜻할 때 beginner 대신 novice란 단어를 쓸 수 있답니다.끝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거의 외래어처럼 쓰이는 ‘로맨스(romance)’라는 단어에도 ‘꾸며낸 이야기’라는 뜻이 있답니다. 모 외고에서 시험 문제로도 나온 표현이기 때문에 그저 ‘연애 소설’이라고 무시하고 외우시면 절대 안 됩니다.

아시죠? 반드시 단어는 문장 속에서 익혀야 한다는 사실을~!!!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