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 "김영란법 내손 떠났다…다같이 실천하면서 만들어가야"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 사진=연합뉴스
남편 강지원 변호사 "사회 전체가 만들고 평가할 일"

김영란(60) 서강대 석좌교수는 "국민 모두 청탁금지법을 실천하면서 (이 법이 제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김 교수는 이 법 시행 사흘째를 맞은 30일 오후 서강대에서 가진 수업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이제 내가 '이래야 합니다 저래야 합니다' 할 여지가 없는 것 같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최근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몰고 온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청탁금지법)은 제안자인 김 교수의 이름을 따 '김영란법'으로 흔히 불린다.

첫 여성 대법관 출신인 김 교수는 국민권익위원장이던 2011년 6월 14일 국무회의에서 공정사회 구현 대책의 하나로 법 제정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김영란법을 탄생시켰다.올해 7월 28일 헌법재판소가 논란이 된 조항을 모두 합헌으로 결정하면서 시행이 확정됐을 때도 세간의 시선은 김 전 위원장에게 쏠렸다.

하지만 그는 당시 외국에 머물며 불필요한 만남이나 관련 언급을 자제했다.

법이 시행되고 나서도 마찬가지다.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강의에 전념하는 그는 이날 취재진이 다가서자 손사래를 치며 몇 마디 말만 남긴 채 강의실로 걸음을 바삐 옮겼다.

그는 "왜 내 인터뷰가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면서 "(김영란법은) 내 손을 떠난지 오래됐으며 최종 작품은 국민권익위원회 작품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도 다른 분들과 마찬가지로 앞으로 우리 사회가 바뀌는 걸 지켜봐야 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김 교수의 남편인 강지원 변호사는 앞서 연합뉴스에 "문학 작가가 작품을 세상에 내놓으면 독자가 읽듯 (김영란법을)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녹여 나가느냐, 그게 우리한테 주어진 과제가 아니겠느냐"며 그의 뜻을 대신 전했다.

강 변호사는 "자꾸 나서서 발언하는 게 옳지 않고, 그것이 사회 집단지성을 위한 일이라는 게 본인(김 전 위원장) 생각"이라며 "집사람의 코멘트는 국민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혼선만 생길 뿐이다.

사회를 위해 자제하는 걸 저도 바람직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평소 "이제 나는 권익위원장도 아니고 대법관도 아닙니다"라고 얘기하면서 본인의 발언을 하지 않는 게 옳다고 거듭 강조한다는 게 강 변호사의 전언이다.

법안을 제안했지만, 이제 법이 시행된 이상 사회 전체가 함께 만들어 나가고 평가해야 할 몫일 뿐 김 전 위원장 개인 견해를 내놓는 건 적절치 않다는 의견으로 풀이된다.강 변호사는 "앞으로도 (김 전 위원장이) 언론 인터뷰 등은 사양할 것"이라면서 "우리 사회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는 것만 알아달라"고 부연했다.

(서울연합뉴스) 차대운 안홍석 최송아 기자 ahs@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