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란 52조 수주 대박, MOU 이후에 달렸다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국빈 방문을 계기로 국내 기업들의 대규모 수주가 잇따를 것이라고 한다. 안종범 경제수석은 “한국과 이란 정부 및 민간기업들이 66개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며 그 규모는 30개 프로젝트, 총 456억달러에 이른다고 밝혔다. 특히 이란 이스파한과 아와즈를 잇는 541㎞ 철도사업 가계약 체결 등 인프라 사업에서 총 116억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수주, 사우스파 석유화학단지 건설 등 에너지 분야에서 178억~258억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참여 등이 눈길을 끈다. 역대 최대 규모의 수주라는 점에서 제2 중동 붐의 한 축인 이란 시장을 선점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올 만하다.

서방의 경제 제재가 풀린 이란은 제6차 5개년 개발계획(2016~2020년)을 통해 평균 연 8%의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고, 석유화학 천연가스 등 에너지 분야에서만 1850억달러 규모의 투자가 예정돼 있다. 한국기업들로선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중국 일본 독일 등이 앞다퉈 이란으로 달려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 만큼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대통령 방문을 계기로 맺은 가계약이나 MOU를 어떻게 최종 수주로 이어가 실질적인 경제 성과를 내느냐가 앞으로 중요한 과제다.

이란은 지난 수년간 국제사회 경제 제재 여파로 금융 사정이 매우 취약해 정부가 공사를 발주해도 즉시 돈을 줄 형편이 못 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국내 금융기관이 기업들의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총 250억달러의 파이낸싱 지원에 나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란 시장 선점을 노리는 경쟁국 역시 가만있지 않을 것은 두 말 할 것도 없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란에 총 550억달러를 지원하겠다고 이미 약속한 바 있고, 아베 일본 총리도 이에 뒤질세라 대대적인 신용융자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최종 수주를 장담하기엔 여전히 변수가 많다는 얘기다. MOU 자체는 양측의 의사를 확인한 것 이상의 의미를 두기 어렵다. 정부와 기업 간 협력을 바탕으로 전략적,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양국 경협은 MOU 후속조치에 달렸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