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천년 새시대를 여는 대학] '변혁 몸살앓는 선진국대학들'

영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의 대학도 새 시대를 맞아 변혁의 몸살을 앓고 있다. 갈수록 심해지는 재정난을 타결하면서 미래에 대비한 체질전환을 해야 하기때문이다. 영국 대학들이 경쟁 체제로 들어간 것은 지난 80년대부터다. 영국정부가 대학지원금을 30% 가량 줄이면서 무상교육을 해오던 대학들이 재정난에 시달리게 됐다. 특히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등 명문대학들이 천문학.수사학 등 "전통적 학문"에만 고집하는 사이 신생 대학들이 첨단학문을 육성하고 특성화에 주력해 판도변화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케임브리지의 경우 개혁작업의 하나로 종신교수제를 폐지하고 차등보수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마이크로소프트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등 재정난 타개를위해 산학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본 대학들은 최근 개인의 창의력과 사고력을 중시하는 새 교육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도쿄대가 비디오 교재를 사용한 외국어 수업을 과감히 도입한데 이어 교토대와 고베대도 알맹이 없는 교양학부 강의를 폐지했다. 게이오대는 최첨단 오디오.비디오 시스템과 컴퓨터 시설을 갖추고 실용학문육성에 나서고 있다. 아오모리대 등 일부 대학들은 성적 미달자를 제적시키는 등 서구식 경쟁원리를 도입하기도 했다. 교수 평가제도도 잇따라 도입하고 있다. 게이오대는 신임 교수를 채용할때 본교 출신을 50%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도쿄대와 교토대 등은 학벌보다 연구실적을 중시하고 있다. 일본 정부도 대학개혁작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성적평가와 출석관리를 엄격히 하도록 하는 등 "공부하는 대학"으로서의 이미지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엔 재정난에 시달려오던 대학들이 돈벌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구내게시판과 강의실 벽에 상품광고와 기업체 로고를 부착하는 등 갖가지 아이디어를 동원하고 있다. 독일 정부도 강의와 연구내용 실적을 평가,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등 대학개혁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독일의 경우에는 한국 처럼 모교 출신이 대학강단을 독점하는 일은없다. 다른 대학에서 강의와 연구실적을 쌓은 뒤 모교 강단에 설 수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공개모집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독일정부는 최근 4학기 말에 실시하는 졸업중간시험제를 도입하는 등 졸업시기 단축을 위해 애쓰고 있다. 독일대학에서는 학기당 의무이수 학점 제한이 없어 맘만 먹으면 졸업하지 않고 학교에 장기간 눌러 앉을 수 있기 때문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27일자 ).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