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날씨 왜 이러나 .. 허창회 <서울대 교수>

허창회 엊그제 서울과 경기도에 내린 집중호우로 수백명의 사상자와 수천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십여일전에는 남부지역에 내린 많은 비로 지리산 일대에서 많은 사상자를 냈다. 집중호우 피해는 한반도에만 국한되지 않고 이웃나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한달 이상 계속되고 있는 큰 비로 양쯔강이 범람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중국경제도 커다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한반도의 반대편에 있는 미국 플로리다주에서는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 산불이 발생,한반도 넓이만큼의 산림을 태워 없앴다. 최근에는 이같은 이상기온의 빈도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세계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지난해 겨울부터 올봄까지 한반도의 기온이 유난히 높았던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두 계절동안 지속됐던 이상고온 현상이 적도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져 발생하는 엘니뇨와 관련 있다는 얘기는 언론보도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한반도에서 십만 이상 떨어져 있는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몇도 올라간 것이 한반도의 기후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수 있는 것일까. 엘니뇨와 한반도 기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세계지도를 앞에 펼쳐놓고 필자가 얘기하는 내용을 쫓는다면 훨씬 이해가 빠를 것이다. 엘니뇨는 남북방향으로 남위 10도부터 북위 10도 사이의 적도지역과 동서방향으로 날짜경계선부터 중아메리카 서해안까지 중.동태평양에서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최고 4도까지 높아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남북으로 2천km, 동서로 1만km, 그리고 깊이 약 60m의 바닷물을 1~4도 정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상상해 보라. 엘니뇨의 해에는 높아진 해수면 온도로 적도 태평양과 그 주변 대기의 순환이 변하고, 변화된 대기순환이 상층 편서풍의 흐름을 따라 북아메리카와 유럽까지 이동해 이 지역에 이상기후를 일으킨다. 한편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나타나는 이상기후는 이러한 대기 순환의 변동과 한반도 남쪽 아열대 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는데서 이유를 찾을수 있다. 적도 중.동태평양에서 활 모양의 형태를 갖는 해수면 온도 상승지역의 서쪽방향으로는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는 지역과 높아지는 지역이 파동형태로 나타난다. 즉 필리핀 동쪽의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낮아지지만 필리핀 북쪽 아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올라간다. 필자는 엘니뇨로 인해 한반도에 발생하는 이상기후의 원인이 대기순환의 변동과 아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상승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독자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것이다. 엘니뇨가 한반도 이상기후의 원인이라면 그 영향은 어느 정도이며, 왜 최근에 그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는가. 최근 엘니뇨에 관련돼 이상기상이 빈발하고 있는 이유는 대기중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지구 온난화에 의해 지구의 평균기온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도 온도 변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빈발하는 집중호우와 가뭄, 혹한과 혹서 등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기상이변을 접할 기회가 많아진 것이다. 엘니뇨의 세기와 그 빈도수, 지속기간 등이 과거와는 다르게 나타나리라는 것도 쉽게 예상할수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상과 기후예보 시스템은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극히 열악하다. 선진국에서는 기상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70년 중반 이후 수백개가 넘는 기상위성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기상청에는 기상예측모델을 운영하기 위한 필수적 장비인 슈퍼컴퓨터 하나 없는 실정이다. 슈퍼컴퓨터도 없이 운영되는 기상청의 시스템으로는 예보가 항상 뒤처질 수밖에 없다. 또 학계에 대한 연구비 지원도 지속적이지 못하고 단기간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깊이 있고 장기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과거 기후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한반도 기후변화의 약 20%정도가 엘니뇨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예보의 정확도를 1% 끌어올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돈을 투자해야 하는가를 생각한다면 우리가 현재 엘니뇨의 이해 및 엘니뇨 예측과 관련된 연구에 얼마나 적게 투자하고 있는가를 알수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0일자 ).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