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급증하고 있는 P2P(개인 간) 부동산담보 대출에 대해 투자 주의보를 발령했다. 연 10·20%대의 높은 수익률 때문에 투자가 몰리고 있지만 원금 보장이 되지 않는 상품이라는 지적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5일 “전체 P2P 대출의 66%를 차지하는 P2P 부동산 담보대출이 신용대출 등 다른 상품보다 안전한 것은 아니다”며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니 꼼꼼히 따져보고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부동산 P2P 투자, 고수익률에 혹했다 훅 간다
P2P 대출은 중개업체가 제공하는 대출 신청자의 신용등급과 담보 등의 정보를 참고해 금융회사가 아니라 투자자가 직접 돈을 빌려주는 새로운 금융이다. P2P 업체들이 내놓는 부동산 담보대출 상품은 크게 두 가지다. 건축물이 들어설 예정인 토지를 담보로 잡고 돈을 빌려주는 일종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인 건축자금 대출과 일반적인 부동산 담보대출이다.

P2P 업체들은 부동산 담보대출 상품에 대해 ‘투자금을 1년 안에 회수할 수 있고 수익률도 연 10~20%로 높다’ ‘담보를 확보해 안전하다’ 등으로 홍보하고 있다. P2P 부동산 담보대출 잔액은 작년 9월 1216억원에서 지난 1월 2214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크게 늘었다. 건축자금 대출은 같은 기간 832억원에서 1708억원으로 105% 급증했다.

금융당국은 그러나 부동산시장 상황 등에 따라 차입자가 돈을 갚지 못하면 투자원금을 잃을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건축자금 대출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축 예정 토지를 담보로 설정하기 때문에 업체에서 제시한 건축물 준공 뒤 가치를 확정된 담보가치로 오인해선 안 된다고 설명했다. 건축물 준공 뒤 미분양이 발생하거나 준공가치가 예상보다 낮아질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또 일부 건축자금 대출상품 중에는 토지에 대한 담보권이 후순위이거나 담보가 아예 없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 수요 등 사업계획의 타당성과 시행·시공업체의 안정성까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일부 P2P 업체가 차입자 모집을 위해 집값의 10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고 광고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은행 등 금융회사는 담보인정비율(LTV) 규제에 따라 집값의 70%까지밖에 돈을 빌려주지 못하지만, P2P 업체들은 LTV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어 가능하다. 그러나 투자자로선 집값의 100%까지 빌려준 경우 집값이 조금이라도 떨어지면 곧바로 원금 회수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물론 P2P 업체들은 부실화 위험이 낮다고 주장한다. P2P 업체 관계자는 “사업성이 높거나 집값이 안정된 지역의 대출만 취급한다”고 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금리 인상 등에 따라 경기가 침체할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일규/이현일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