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시가총액, 월마트 추월…쇼핑카트 밀어낸 '총알 배송'
온라인 소매업체 아마존이 50여년 전통의 ‘유통 거인’ 월마트를 넘어섰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은 23일(현지시간)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연출했다. 주가는 17% 폭등하며 시가총액으로 월마트를 제치고 유통업체 1위에 올라섰다.

실적발표 후 시가총액 300억달러 급증

아마존 시가총액, 월마트 추월…쇼핑카트 밀어낸 '총알 배송'
아마존은 이날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 급증한 232억달러(약 27조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투자분석가들의 예상치인 224억달러를 뛰어넘었다. 순이익은 9200만달러, 주당 19센트로 지난해 1억2600만달러 적자에서 벗어났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순손실을 기록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을 뒤집었다.

이날 아마존 주가는 장중 부진한 실적 전망에 1.2% 하락한 482달러로 밀렸다. 하지만 장 마감 후 실적이 발표되자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불과 30분 만에 17.3% 급등하며 565달러까지 치솟았다. 덕분에 시가총액은 약 300억달러 증가한 2680억달러로 불어나 이날 주가가 1%가량 하락한 월마트(2335억달러)를 단숨에 추월했다.

아마존의 실적 호조는 북미 시장의 매출 증가와 클라우드 사업의 수익개선이 이끌었다. 클라우드 사업인 ‘아마존 웹 서비스’의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다섯 배인 3억9100만달러에 달했다. 북미시장 매출은 25% 증가한 138억달러를 올렸고 영업이익도 7억달러로 지난해의 두 배에 달했다. 주가 급등으로 창업자인 제프 베저스 최고경영자(CEO·사진)의 재산도 하루 만에 70억달러가 불어났다.

1994년 설립해 올해로 창립 21주년을 맞는 아마존은 초기에는 온라인 서점으로 출발한 뒤 전자제품과 가정용품으로 사업영역을 넓히며 공격적인 투자를 벌여왔다. 월마트는 1999년 자체 온라인 판매를 위한 웹사이트를 출범한 뒤 베저스에게 아마존을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그는 이를 단번에 거절했고, 16년 만에 아마존을 월마트를 능가하는 회사로 키워냈다.

블룸버그통신은 베저스가 그동안 수익보다는 많은 돈을 투자하면서 성장에만 집중했지만 이날 비용지출을 줄이면 언제든지 이익을 낼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에게 확인시켜줬다고 평가했다.

美 소비자들 쇼핑 패턴, 온라인으로

온라인 경제전문매체 쿼츠는 아마존이 월마트를 제친 것은 온라인 소비가 향후 수십년간 미국 경제의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소매판매 중 온라인 비중은 7%에 불과하지만, 그만큼 성장의 여지가 충분하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실제 매출 기준으로 세계 최대 회사인 월마트의 지난해 매출은 4860억달러로 아마존의 890억달러보다 5.5배 많다. 직원 숫자도 22만명으로 전 세계 민간기업 중 가장 많은 인원을 고용하고 있다.

외신들은 외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마존 시가총액이 월마트를 넘어선 것은 미국 소비자들의 쇼핑 패턴이 온라인 중심으로 넘어왔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결과 미국 내 오프라인 매장 수는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줄고 있다. 한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올 들어 미국의 백화점과 전자, 식품, 의류, 스포츠용품 등 대형 판매점의 지점 감소 숫자는 6000여개에 달한다.

지난 4월 전자제품 양판점인 라디오섀크가 파산보호 신청을 하면서 미국 전역의 1784개 점포 대부분이 문을 닫았고, 한때 1만6000여개의 슈퍼마켓 매장을 운영했던 유통업체 A&P도 최근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올해 대형 백화점 시어스와 할인점 타깃이 각각 77개와 133개의 매장을 줄이기로 했다. 초저가 할인점인 달러트리와 패밀리 달러도 합병을 통해 매장 340개를 폐쇄하기로 했다. 문구용품 전문점 스테이플스와 사무용품 전문점 오피스디포가 합병하면서 각각 55개와 400개의 점포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최대 약국체인인 월그린(200개)과 서점체인인 반스앤드노블(223개)도 점포 축소와 인원 감축 등 구조조정계획을 발표하는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오프라인 매장을 줄이고 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
  • 공유
  • 프린트
  1. 1

    AI시대…'따뜻한 한마디'가 기업호감도 높였다

    콜센터는 기업과 고객을 이어주는 창구 역할을 한다. 제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뒤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가장 앞서 처리한다는 의미에서다. 기업의 인상을 결정하는 첫 관문인 셈이다. 콜센터 품질이 기업 평판을 판가름하는 척도로 여겨지는 이유다.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대표이사 사장 한수희)이 ‘2024년 한국산업의 서비스품질지수(KSQI)’ 콜센터 부문 조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KMAC는 2004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콜센터 부문에 관한 KSQI 측정 지수를 개발했다.올해까지 21년간 매년 KSQI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는 53개 산업 부문에서 346개 기업 콜센터를 대상으로 조사했다.올해는 국내 콜센터 전반에 걸쳐 서비스 품질과 공감영역 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우수콜센터 평가지수는 1년 전보다 1.0점 감소한 87.3점을 기록했다. 2022년(89점)부터 3년 연속 하락세다. 차량공유(카쉐어링) 산업의 경우 작년보다 10.6점 줄어들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KMAC 관계자는 “우수콜센터 평가지수가 작년보다 하락한 이유는 셀프 상담 서비스가 확산하면서 상담 인력이 대거 감소했기 때문”이라며 “고객들의 상담 대기 시간이 길어졌고, 단기간에 상담 전화가 급증할 때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KMAC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우수 콜센터’로 선정된 기업 수는 1년 전보다 26개(6%) 늘어난 126개로 집계됐다. 전체 기업 중 36%에 달했다. KMAC는 서비스품질 영역이 92점을 넘을 경우 우수 콜센터로 지정한다. 92점을 밑돌 경우 우수 콜센터에서 제외한다.올해 비(非)우수 콜센터에서 우수 콜센터로 전환한 기업은 16개로 집계됐다. 우수에서 비우수로 바뀐 기업은 40곳

  2. 2

    [포토] 수협銀 ESG경영 강화

    수협은행(행장 강신숙·앞줄 가운데)은 이사회 산하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위원회를 신설했다고 9일 밝혔다. 사외이사 네 명으로 구성된 ESG위는 수협은행의 지속가능 경영 전략과 관련 정책을 의결·감독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다.  수협은행 제공 

  3. 3

    롯데케미칼 "기초화학 사업 과감히 구조조정"

    “더 이상 양적 성장에 목매지 않겠다. 기초화학 부문은 ‘자산 경량화’ 작업에 들어가겠다.”국내 2위 석유화학기업인 롯데케미칼의 이훈기 대표가 9일 1분기 실적 발표 후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과감한 사업 재편을 처음 언급했다. 이 대표는 “중국의 대규모 증설로 어려움을 겪는 범용 석유화학 중심 사업 구조를 혁신적으로 개편할 것”이라며 “(사업 재편 후) 남는 인력과 자원으로 고부가가치 신사업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중국과의 출혈경쟁을 멈추고, 아직 중국이 따라오지 못하는 고부가가치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롯데케미칼이 자산 매각 등 추가 구조조정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본지 4월 17일자 A12면 참조○양적 성장→질적 성장으로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은 그동안 양적 성장에 매달렸다. 세계 석유화학 제품의 40%를 소비하는 중국이 20년 넘게 성장한 덕분에 이런 전략은 먹혔다. 컨설팅회사 맥킨지에 따르면 세계 석유·화학산업은 2001년 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연평균 10%씩 성장했다.롯데케미칼도 이런 기조를 따랐다. “20조원인 매출을 2030년까지 50조원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한 게 1년 전이다. 이 비전에는 플라스틱 원료인 페트(PET) 등 범용 석유화학 제품 매출을 2022년 12조2000억원에서 2030년 20조원으로 늘린다는 계획도 담겼다.하지만 3~4년 전부터 중국 내수시장이 쪼그라들면서 모든 상황이 바뀌었다. 팔 곳을 잃은 중국 기업들이 수출에 나서면서 범용 제품을 중심으로 가격이 폭락한 것. 2022년 3월 t당 1380달러이던 PET 가격은 지난달 1100달러로 20.2%나 떨어졌다. 롯데케미칼이 지난 2년간 1조원 넘는 적자(2022년 7626억원, 2023년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