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5시18분께 근로자 3명이 누출된 가스로 사망한 울산 울주군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호기의 야간 전경. 이 발전소는 공정률이 99%로 내년 6월께 준공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26일 오후 5시18분께 근로자 3명이 누출된 가스로 사망한 울산 울주군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호기의 야간 전경. 이 발전소는 공정률이 99%로 내년 6월께 준공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불량부품 사용으로 인한 원자력발전소 3기 가동 중단, 수중 작업하던 하청업체 잠수부 사망, 협력업체 직원들과 전산망 접속 ID 및 비밀번호 공유, 해킹에 의한 원전도면 유출, 작업현장 가스 누출로 근로자 3명 사망.’

최근 2년 새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줄줄이 발생한 사건·사고 리스트다. 해킹으로 원전 도면 등 핵심자료가 유출된 사건이 오리무중인 가운데 이번엔 내년 6월께 준공을 앞둔 신고리 원전 3호기 건설현장에서 근로자 3명이 숨졌다. 이를 포함해 올 들어서만 원전 현장에서 6명이 사망했다. 이처럼 설비유지 관리와 안전·보안 관리에 구멍이 숭숭 뚫린 한수원의 총체적 부실은 원전에 대한 국민 신뢰를 훼손하고 국가의 ‘에너지 백년대계’까지 위협한다는 지적이다.

사고 행진에 국민 불안 높아져

한수원, 사고 또 사고…'에너지 백년대계'까지 위협
2012년 한수원은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부품을 설치한 게 적발됐다. 2003년부터 ‘짝퉁부품’을 사용하다가 뒤늦게 불거진 것이다. 지난해엔 신고리 1~4호기 등 원전 6기에 안전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핵심부품(제어케이블)을 설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설비 유지관리 부실은 막대한 국민 불편과 비용을 초래했다. 불량 제어케이블을 교체하느라 8개월간 원전 3기가 가동을 멈추는 바람에 지난해 여름 전력수급난이 초래됐다. 올 들어 지난 1월엔 핵심부품 고장으로 한울 5호기 가동이 중단된 데 이어 2월엔 제어봉 전원장치 불량으로 한빛 2호기가 멈춰섰다. 3월엔 출력계통 밸브 제어기 고장으로 월성 3호기가 정지됐다. 박완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해 전력대란으로 인해 국민이 1조원을 전기요금과 세금 등으로 더 내야 했다고 분석했다.

막을 수 있었던 가스 누출사고

26일 발생한 가스 누출사고도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용역업체 관계자는 “사망한 3명이 순찰을 돌다 질소가 갑자기 새어 나왔다”며 “사이렌이나 경보음이 울렸다는 얘기를 못 들었다”고 말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설비는 다 갖췄으나 아직 가동되지 않은 원전이라 특별한 안전조치는 취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5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이 국회에서 통과된 건 한수원과 같이 유독물질이 많은 기업의 관리책임을 강화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번 사고를 감안하면 한수원은 법이 통과된 후에도 별다른 긴장과 쇄신 의지를 갖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은 ‘갈라파고스섬’

사건·사고 행진은 한수원의 바뀌지 않은 조직문화와 임직원들의 의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전문적인 일을 한다는 이유로 외부 수혈은 거의 없는 데다 외부인사가 수혈돼도 부서와 업무 칸막이 탓에 정보가 제대로 공유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수원을 관리감독하는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도 “한수원은 고립된 갈라파고스섬과 같다”며 “외부와 철저히 유리돼 자기들끼리만 모여 얘기한다”고 할 정도다.

이 같은 폐쇄적인 조직문화 때문에 2012년부터 자체 적발된 비리와 사고는 없었다. 모두 외부를 통해 드러난 것들이다.

부품 시험성적서 위조사건에 따라 지난해 6월 1급 이상 간부 177명이 사표를 냈지만 4개월 뒤 열린 국회 국정감사에선 한 사람의 사직서도 수리되지 않았고, 오히려 약 93억원의 급여를 챙겼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난 9월 ID와 비밀번호를 협력업체와 공유한 사실이 적발된 19명의 직원도 아직 아무런 징계를 받지 않았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지금 한수원은 대대적인 외과수술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감독기관 출신이나 원자력학 전공자가 아니라 민간의 전문경영인이 수혈돼 강력한 충격을 주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재후/심성미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