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남성 5명 중 1명, 평생 결혼 못한 까닭?
일본에서 경기 침체로 미혼 남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분석 결과 50세 시점에서 한 번도 결혼을 하지 않은 인구 비율인 '생애 미혼율'(2010년 기준)이 남성은 20.1%, 여성은 10.6%라고 요미우리신문이 1일 전했다.

2012년판 '아동·양육 백서'에 따르면 1980년의 생애 미혼율이 남성은 2.6%, 여성이 4.5%로 지난 30년간 남성의 생애 미혼율은 8배, 여성은 2배 이상 높아졌다.

연령별 미혼율을 보면 25∼29세 남성은 71.8%, 여성은 60.3%였다. 30∼34세에선 남성 47.3%, 여성 34.5%로 집계됐다. 35∼39세는 남성 35.6%, 여성 23.1%였다.

독신인 이유에 대해선 25∼34세는 '적당한 상대를 만나지 못해서'가 남성은 46.2%, 여성이 51.3%로 가장 많았다. '결혼 자금이 부족해서'는 남성 30.3%, 여성 16.5%였다.

이처럼 남녀 모두 미혼율이 급상승 한 것은 경기 침체가 본격화한 1990년께부터다.

2011년 백서에 따르면 남성의 연간 수입이 300만 엔(한화 약 4200만 원) 미만일 경우 기혼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층의 소득 수준 저하가 미혼율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