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편성채널 사업자 선정과 관련, 이런저런 의견들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방송학회 주최로 어제 열린 '방송시장 현황 및 신규 PP도입 필요성과 정책 방안' 세미나에서 박천일 숙명여대 교수는 종편 채널은 다수를 허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1개 사업자로는 지상파 방송의 독과점 구조를 깨기 어렵고 특혜시비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위험한 발상이다. 종편 사업자 선정은 방송산업의 향후 구도 개편 방향과 미디어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방안 등 큰 틀에서 접근하지 않으면 안된다. 국내 방송시장은 이미 경쟁이 대단히 치열하다. 유료방송채널의 지난해 매출액이 지상파를 추월하는 등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복수사업자가 추가로 나서기에는 부담이 너무 크다.

특히 종편채널은 수천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초기 투자도 필요하다. 게다가 지상파 방송 자체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2013년 전면 디지털방송이 실시되면 추가로 지상파 채널이 허용될 가능성이 높고 장기적으로 MBC나 KBS2가 민영화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다수의 종편사업자를 선정하는 것은 영세 방송 사업자만 양산하는 꼴이 된다. 이는 전문성과 공정성을 갖춘 글로벌 미디어 그룹을 육성한다는 미디어법 개정 취지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최근 열린 언론학회 주최 세미나에서 종편채널은 1개사업자만 선정돼야 한다고 의견이 모아진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도 특혜시비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다수 사업자를 선정하겠다는 것은 무책임한 발상이다. 종편 사업자는 충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고 양질의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는 1개 컨소시엄으로 국한하는 게 옳다. 물론 소유가 분산돼 중립성과 공익성을 지킬 수 있는 기업인지도 철저히 따져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