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양대 경매사 가운데 하나인 크리스티의 홈페이지가 다운됐다. 지구촌 경매시장의 ‘대목’으로 불리는 5월 뉴욕 경매를 앞두고서다. 미술계에서는 해커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사태로 초고가 미술품을 사들이는 세계적 ‘슈퍼 리치’들의 개인정보가 대량으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형 경매사 크리스티…홈페이지 '먹통' 상태
13일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크리스티 홈페이지는 지난 10일부터 정상적인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 크리스티 관계자는 “기술 보안 문제로 홈페이지에 문제가 생겼지만 적절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했다. 하지만 주요 경매 주간의 시작(현지시간 14일)을 하루 앞둔 지금까지도 홈페이지는 복구되지 못했다. 지금 크리스티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사무실 전화번호가 적힌 임시 페이지만 뜬다.

웹사이트 먹통으로 크리스티는 연간 매출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5월 경매의 실적 하락이 불가피해졌다. 크리스티 측은 “오프라인 미술품 판매는 계획대로 이뤄질 것”이라고 했지만 추후 온라인 경매가 어떤 식으로 재개될지에 대한 외신의 질문엔 답하지 않았다.

오프라인 경매에도 악재다. 경매사 홈페이지는 경매 출품작과 작가의 정보, 경매 추정가 등을 접할 수 있는 가장 신뢰성 높은 창구이기 때문이다.

가장 큰 문제는 신뢰도 추락이다. 외신은 크리스티가 해커에게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탈취당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크리스티 측이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놓고 해커들과 ‘몸값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설도 나왔다. NYT는 익명의 크리스티 관계자를 인용해 “회사가 완전히 패닉 상태에 빠졌다”고 전했다.

세계 미술 시장은 그렇지 않아도 침체 국면의 시장에 악재가 더해졌다는 반응이다. 5월 뉴욕에서 크리스티와 소더비, 필립스 등 3대 경매사가 내놓는 작품들의 추정가 총액은 12억~18억달러로, 2년 전인 2022년 28억달러에 비해 이미 절반 미만으로 쪼그라들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