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양비용 산출근거·대책본부운영비 104억원 용처는

해양수산부가 8일 오후 처음으로 세월호 사고 수습 및 피해지원 비용을 공개했지만, 돈의 용처나 근거가 명확치 않은 발표에 궁금증만 증폭됐다.

'세월호 비용'이 약 5천500억원이고, 이 가운데 앞으로 들어갈 돈이 약 3천700억원이라는 발표에 취재진의 질문이 쏟아졌지만 명확한 답변은 나오지 않았다.

◇ 비용 먼저 발표한 이유는 = 해수부는 세월호 인양 여부를 두고 "기술검토 작업이 완료되면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지켜 왔다.

해수부 산하 세월호 선체처리 관련 기술검토 태스크포스(TF)는 그동안 크레인, 플로팅 독 등을 사용해 세월호를 물 밖으로 인양할 수 있을지 연구했고, 애초 3월 말 결과를 내놓기로 했지만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연기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일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여론을 수렴해 인양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히자 기술검토 TF의 결론에 더욱 관심이 쏠렸다.

하지만, 해수부는 기술검토 결과 공개에 앞서 세월호 비용을 먼저 공개했고, 이에 대해 세월호 가족들은 "돈 많이 든다는데 관심을 돌리려는 의도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해수부는 "유기준 장관이 전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비용이 5천500억원을 상회한다고 답변했고, 이에 많은 의원들이 비용을 상세히 국민께 공개하라고 해서 브리핑을 열게 됐다"고 해명했다.

◇ 인양비용 1천205억원 산출 근거는 = 해수부는 세월호 선체 인양 비용이 1천205억원으로 추정된다며 '기술검토 결과 등에 따라 변동 가능'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세월호가 침몰한 맹골수도 해역은 유속이 워낙 빠르고 기상변화가 심해 실종자들을 수색할 때도 잠수사들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세월호를 대형 크레인으로 물 위로 끌어올려 바지선에 실을지, 플로팅 독 위에 얹어서 이동할지, 유속이 느린 곳으로 옮기고 나서 인양작업을 할지 등 인양방법에 따라 작업 기간과 비용에 차이가 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1천205억원'이란 인양비용에 대해 "기상상태가 양호할 때와 나쁠 때, 전통적 인양방식인 크레인을 동원했을 때 등 장비비용, 한 번에 인양하지 못했을 때 비용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평균적으로 산출한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또 세부 내역에 대해서는 "금액의 절반은 장비비용, 나머지 절반은 잠수비용으로 보면 된다"고 답했다.

1천205억원 산출 근거를 정확히 밝히라는 거듭된 요구에 해수부는 "이 금액은 일종의 가이드라인이지 정확한 원가를 반영하지 않았다.

기상상태나 기술적 불확실성에 따라 차이가 크다"며 "구체적 숫자는 기술검토 결과를 조만간 발표할 때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 대책본부 운영비 104억원 용처는 = 이날 공개된 지난해 세월호 관련 예산 집행내용을 보면 사고대책본부 운영비로 104억원이 집행됐다.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세월호 사고 다음날인 작년 4월 17일 설치돼 수중수색 종료 발표 후 11월 17일 해체될 때까지 216일 동안 활동했다.

또, 수색·구조에 쓰인 유류비로 416억원, 잠수부 인건비와 조명탄 등 기타 비용으로 488억원이 쓰였다.

분향소 운영과 소송비 등 기타 항목에 쓰인 비용은 106억원이다.

이처럼 항목별로 몇 백억원씩 국가 예산이 쓰였지만, 구체적인 용처에 대해 해수부는 "예산 집행처가 제각각이고, 각각의 금액을 취합해 추가로 더 알아봐야 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이날 해수부 발표에서 국비 5천339억원에 대해서는 큰 틀에서나마 사용처를 공개했지만, 지방비 209억원에 대해서는 내역을 밝히지 않았다.

(세종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noano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