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8일 4대강 살리기 사업 계획을 확정하면서 내놓은 수질 개선 대책은 수질오염이 심한 지역에 대한 집중 투자와 공사에 따른 수생생태계 영향 최소화로 요약된다.

◇ 집중투자로 4대강 평균수질 개선 = 환경부는 4대강 살리기 본사업을 추진하면서 353개 하ㆍ폐수 처리시설의 총인 관리 시설 확충에 5천억원을 쓴다.

이를 통해 2012년까지 본류 수질을 평균 2급수(BOD 3㎎/L 이하)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75%에 달하는 4대강의 2급수 수질 달성률을 2012년까지 83-86% 수준까지 끌어올려 애초 세웠던 수질목표 달성시기를 2015년에서 2012년으로 앞당긴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4대강 살리기 사업 과정에서 4대강 66개 유역 중 수질오염이 심한 34개 유역의 수질을 집중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특히 경안천, 금호강, 갑천, 미호천, 광주천 등 5개 유역에 가장 먼저 투자해 본류뿐만 아니라 지류의 수질 개선에도 전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정부는 4대강 추진본부에 수질 및 환경 분야를 담당하는 전담조직인 수질환경국도 둬 수질대책을 총괄하도록 했다.

환경부 파견 공무원 등 13명으로 구성될 수질환경국은 금주 중 업무를 시작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본사업에 책정된 수질 개선 관련 예산은 총인 처리 시설 보강과 확충에 쓰이며, 직접 연계사업에서는 하ㆍ폐수 처리장이나 가축 및 분뇨 처리시설 등의 신설이나 확충에 투입된다"고 말했다.

◇ 수생생태계 영향 최소화 = 정부는 하천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수생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하는 대책을 강구 중이다.

부유 토사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오탁 방지막 설치, 진공흡입식 준설 공법 활용, 가배수로 설치 등의 대책을 착공 전에 만들기로 했다.

수량이 많은 곳은 선박을 이용한 진공흡입식 준설, 수량이 적으면 가물막이, 우회수로, 오탁방지막 등을 설치해 공사에 따른 탁수 발생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한 방제를 위해 '4대강 수질오염 종합 방제센터'를 구성해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공사 중에 대체 서식지를 조성하고 보호종 인공배양시설을 구축하는 등 수생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마련 중이다.

사업구간 내 생활용수 취수장(60개소)에 대해서는 취수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현지 여건에 맞는 대처방안을 착공 전까지 마련키로 했다.

공사 기간에 산업폐수 관리 대책도 추진한다.

사고발생 가능성이 큰 산업단지나 공업지역에 오염사고 방지를 위한 완충 저류지 10개를 만들고 대규모 공장 등에 오염사고 감시를 위한 수질 자동 측정망을 확충해 오염도를 실시간 감시하기로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산업폐수에 포함된 미지의 유해물질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생태독성 배출기준 관리 제도를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해 산업폐수를 총체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penpia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