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들은 금융권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 시행으로 주택 구매 수요층의 전체 대출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연소득에 비해 많은 규모의 대출을 받던 서민층의 대출이 제한되면서 내 집 마련 시기가 늦어지고 전·월세시장으로의 쏠림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이자 총액으로 심사하던 총부채상환비율(DTI)에서 부채 총액으로 심사하는 DSR로 대출 심사 기준이 바뀌면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서민들의 대출 한도가 낮아진다”며 “이런 수요가 전·월세시장으로 눈을 돌리면서 전세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매하는 ‘갭(gap)투자자’ 경우엔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위원은 “갭투자는 자본금 몇 천만원에 세입자의 전세자금을 끼고 매입하니까 은행 대출이 필요 없다”며 “30대 안팎의 젊은 투자자들도 관심을 보이면서 갭투자가 더 활성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규 분양시장은 지역 및 상품에 따라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올 들어 신규 분양 집단대출 금리도 오르고, 금융권의 대출 거절도 빈번한데 어려운 상황이 더 심해질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박상언 유앤알컨설팅 대표도 “신도시 택지지구나 지방 분양은 일반분양이 많고 수요자 대부분이 이번 DSR 제도에 영향을 받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반면 강남권 재건축 분양은 일반분양분이 얼마 안 되고, 돈 있는 사람들이 분양을 받아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제도 시행으로 부동산시장이 침체기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미대선’ 영향으로 신규 분양이 줄어들면서 시장이 연착륙하는 단계에 있고, 서울 도심권은 여전히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