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통위에 보고…대북식량지원엔 "WFP 모니터링요원 확대"

통일부는 25일 세계보건기구(WHO)의 대북보건의료지원 사업 등에 추가 공여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보고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 관련 "유니세프·WHO 등 주요 국제기구의 북한 취약계층 대상 영양지원, 모자보건, 보건의료 지원사업 등에 공여를 검토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달 세계식량계획(WFP)과 유니세프의 북한 취약계층 대상 인도지원 사업 등에 800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결정하고 이달 11일 해당 기구에 송금을 완료했다.

여기에 추가로 WHO가 북한에서 실시 중인 보건의료지원 사업 등에 공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난 정부에서도 국제기구와의 업무협약(MOU) 체결을 통해 대북 취약계층 지원사업이 추진됐다며 "인도적 상황을 고려하면서 그간 해온 사업을 계속 검토해나가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북한에 국내산 쌀 5만t을 지원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서는 "북한 주민에게 최대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이라며 "이번 5만t 지원 결과 등을 보면서 추가 식량지원의 시기와 규모 등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현재 쌀 5만t 관련 WFP 및 유관기관들과 남북협력기금 집행 및 수송 준비 등을 진행 중이며, 보관기관이 짧은 도정된 쌀 지원, 포대에 '대한민국' 표기, WFP 모니터링 요원 및 지역사무소 확대 등 분배 투명성 강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수송 경로 등 세부 사항은 아직 결정된 것이 없지만, 이번 지원은 정부가 쌀을 WFP에 인계하면 WFP가 운송·분배를 책임지는 본선 인도방식(FOB)이어서 북측과 협의 및 대북제재 면제 등 실무 절차는 WFP 책임하에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에 따르면 WFP 등 국제기구는 북한 식량 상황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올해 가뭄 지속으로 향후 상황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지난달 WFP가 발표한 북한의 식량 부족량은 136만t이며, 2019년 1월 1일부터 6월 18일 현재까지 강수량은 159㎜로 지난 30년 평균 강수량의 56.3%에 그쳤다.

통일부 "WHO 대북보건의료사업 등에 추가 공여 검토"(종합)
한편, 통일부는 북한이 최근 남북관계에 대해 '소극적 기조' 유지하고 있으며 남북선언 이행 및 근본적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에 무응답"하고 있다며 "'근본 문제' 우선 해결을 주장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개별사안에 대해서는 북측에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남북관계가 전반적으로 소강국면에 있는 상태"라며 "남북 간 공식적인 대화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점(을 의미한다)"고 부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