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조직진단 맞물려 공석인 비서관 등 선임해야
與 압승에 중간평가 부담 덜어…개각은 하더라도 소폭일 듯
[6·13 선거] 文대통령, 청와대·내각개편 카드 '만지작'
6·13 지방선거 결과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귀결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내 조직 개편과 개각 구상을 실행할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지방선거 출마에 생긴 청와대와 내각의 빈자리를 메워야 하기도 하지만 높은 지지율의 이면에 부진하다는 평가가 제기되는 국정 분야의 동력을 새롭게 확보하려면 어떤 형태로든 인적 개편이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차원에서다.

당장 청와대 내부에서는 인선을 놓고 적잖은 폭의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일단 이번 선거에 출마하고자 주요 비서관과 행정관 등이 올해 초에 사표를 내고 나간 뒤 공석이 된 자리를 채워야 한다.

현재 비어있는 비서관급 자리만 해도 정무비서관, 제도개선비서관, 균형발전비서관 등 세 자리다.

특히 정무비서관 자리는 지난해 11월 한병도 정무수석이 승진 임명되면서 공석이 된 뒤 7달 가까이 후임을 찾지 못한 상태다.

외부 인사 임명과 내부 인사의 승진 등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는 가운데 비어있는 행정관 자리까지 채우려면 연쇄적인 인사이동이 있을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청와대 내 조직진단과 업무평가도 조직 개편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있으나 큰 변수는 아닐 것이라는 게 내부의 대체적 평가다.

청와대 관계자는 14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대폭으로 개편하려면 3실 체제를 바꾼다거나 수석실을 신설·폐지하는 정도가 돼야 하는데 그럴 것 같지는 않다"며 "조직진단에 따른 효율성 증진 방안이 나오는 정도일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개각 카드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이목이 집중되는 부분이다.

전남지사 당선이 확실시되는 김영록 전 장관의 후임을 찾아야 하는 가운데 문 대통령이 다른 부처의 장관을 어느 선에서 교체할 것인지가 관심사다.

다만, 여당 압승 전제하에 큰 폭의 개각은 없을 것이라는 데 무게가 쏠리는 분위기다.

출범 1년을 맞은 중간평가 성격의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이 고전했다면 민심의 뜻을 반영하는 차원에서라도 중폭 이상의 개각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 정반대 상황이 연출되었다는 근거에서다.

1기 내각을 구성하면서 인사검증 부실 논란 등으로 홍역을 앓은 문 대통령과 청와대가 굳이 같은 어려움을 감수하면서까지 개각을 시도할 가능성이 작다는 점도 이런 해석을 뒷받침한다.

자칫 인사검증과 청문회 과정에서 돌발 변수가 나타나기라도 한다면 북미정상회담 등으로 순풍을 탄 국정이 인사 정국에 발목을 잡힐 수 있어 부담스럽다는 점도 같은 맥락의 분석이다.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는 외교·안보 분야 장관을 제외하고 지난 1년간 각종 현안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잡음을 일으켰던 부처의 장관들을 중심으로 소폭의 개각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는 흐름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달 27일 유럽 순방 중 영국 런던에서 기자들을 만나 "장관들 평가가 있었다"며 "부분 개각과 관련해 청와대와 이미 기초협의를 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면서 일부 부처 장관의 교체설을 두고 "규모가 클 거로 생각하지는 않는다"는 말로 소폭 개각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