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8 · 15 광복절 축사에서 언급한 '공정사회'가 우리 사회의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글로벌 인재포럼 참석자들은 21세기 '깨어있는 자본주의'의 시대에 '공정사회'를 향해 노력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하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정부가 일방적으로 몰아붙이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공정사회에 대한 개념적 · 사회적 합의를 이뤄내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잭 맥두글 미 국가경쟁력위원회 부위원장과 윤여선 KAIST 경영대학원 교수,권영설 한경가치혁신연구소장은 28일 조찬 간담회를 갖고 '공정한 사회-상생과 성장의 키워드'를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문형구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가 사회를 맡았다.

맥두글 부위원장은 "미국인들도 상당수가 기업이 사회적으로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많은 기업이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공평성은 매우 중요한 개념인 만큼 제대로 정의하는 게 필요하다"며 "정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면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고 신중한 접근을 권고했다.

맥두글 부위원장은 헨리 포드가 값싼 자동차를 만들어 대중교통의 혁신을 이룬 것을 예로 들며 "기업들은 그동안 소비자 수요를 감안해 많은 사회공헌을 해 왔고 정부가 이에 개입하지 않았던 적도 많았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공정사회란 개념은 좋지만 정부와 대기업 사이에 존재하는 시각 차가 문제"라며 "정부든 대기업이든 한철 유행처럼 급하게 서두르지 말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생과 일자리 창출,중소기업 지원 등이 세계적 흐름으로 자리잡아 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과거 가격 우위(중소기업의 희생을 강요하는) 성장 모델을 갑작스럽게 바꾸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는 "일반인이 기업에 '굿시티즌십'을 요구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기업은 상생과 사회공헌,자원봉사 등에 대해 수동적이 아니라 전략적 · 투자적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내년부터 시행될 ISO 26000이 규정하고 있는 지배구조와 인권,노동,환경 등 7가지 규범을 지키지 않으면 기업 활동이 힘들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권 소장도 "공정사회는 갑자기 불거진 핫이슈라기보다는 글로벌 트렌드"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정확한 모델을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공정사회를 향한 움직임은 계속 강화할 것"이라며 "기업들이 (정부가) 표나 얻으려는 움직임이라고 폄하한다면 불편할 수 있고 새롭게 다가올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기업은 그동안 고객과 관계를 맺으며 제품을 만들어내는 데 익숙했지만 앞으로는 지역사회 등 이해관계자들과 어떤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다만 공정성이란 개념은 제도적인 게 아니라 조직원 모두가 공유해야 하는 인식(생각)"이라며 "맥두글 부위원장의 지적처럼 '개념'을 먼저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