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문제 기류가 급반전하면서 대화기조가 다시 급대두하자 정부 당국자들의 말과 표정에 한결 여유가 생기고 있다. 정부는 중국 다이빙궈(戴秉國) 외교부 수석부부장의 방북과 곧이은 방미를 전후해 `3자->확대 다자회담'론이 기정사실화하는 데 대해 딱히 확인은 해주지 않으면서도 "대화의 형식보다는 대화의 모멘텀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기존 원칙을 강조하면서 북핵 대화의 조기재개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았다. 특히 그동안 북핵 대화 재개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북.미 양자대화'에 대해선 이제 해소됐다는 분위기다. 정부 관계자들은 다만 현재 중국을 매파로 해 북한과 미국이 최종 조율하는 미묘한 상황임을 감안, 행여 대화국면 정착에 차질이 빚어질까봐 구체적인 대화 형식이나 시기 등에 대해선 "말할 입장이 아니다"며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라종일(羅鍾一)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이 18일 오전 미국 방문에서 귀국함에 따라 북.미.중간 조율 현황과, 라 보좌관을 통해 전달했던 정부 입장에 대한 미국측 반응 등을 토대로 북핵문제의 향후 전개방향을 분석하면서 대화를 촉진.정착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외교 경로를 통해 미국, 중국, 일본과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현재 한미 양국이 북핵회담에 대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면서 "일단은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다른 당국자는 "북.중간 진행된 회담 내용이 `대화 차단'이 아닌 `대화 계속'을 위한 길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모아졌으며, 그 결과가 나쁘지 않은 것 같다"면서 "북.미 양쪽을 만족시키는 만남의 형식이 이루질 것으로 본다"고 어떤 형식이든 다자대화 성사를 기정사실화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