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7일 정상회담에서 북핵 해결을 위한 '당사자 대화'를 위해 공동 노력키로 합의했다는 발표를 놓고 익숙한 `다자회담'과 다른 표현때문에 내용도 다른 게 아니냐는 관측으로 논란이 빚어졌다. 한국측이 정상회담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에는 "최근 관련국간 논의되고 있는 확대 다자회담 개최를 위해 양국이 노력키로 했다"며 `확대 다자회담'이란 말을 씀으로써 5자 또는 6자회담을 가리키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노 대통령이 "북핵문제의 실질적이고 원만한 해결을 위해 조속한 시일내 당사자간 대화가 다시 시작돼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당사자간 노력을 경주해 나가야 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밝힘으로써 여러가지 추측이 제기됐다. `당사자간 대화'가 경우에 따라선 북미간 양자회담도, 지난 4월 베이징에서 열린 북-미-중 3자회담의 재개도, 한.미.일이 합의한 5자 혹은 6자회담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라종일(羅鍾一)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은 브리핑에서 "정상회담에서 노 대통령은 `다자회담'의 필요성을 제안했고, 후 주석은 `당사자들이 모여서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설명, `당사자'라는 표현의 출처를 후 주석이라고 밝혔다. 라 보좌관은 그러나 `당사자간 대화'의 의미에 대해 "그 표현은 다자회담의 형식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나온 것으로 보면 된다"며 "당사자의 범위와 형식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하고 "양국 외무장관이 오늘 회담을 열어 실무적인 논의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정상회담에서 다자회담 또는 당사자 회담 중 어느 표현이 사용됐느냐'는 질문에도 "그것이 뭐가 크게 중요하느냐"고 구체적인 언급을 회피하다 `당사자간 대화'의 의미를 더욱 분명히 해달라는 질문이 쇄도하자 "확대 다자회담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봉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실장은 "베이징 3자회담이 별다른 실익이 없는 것으로 이미 정리됐다고 봐야하지 않겠느냐"고 말해 5,6자회담 쪽에 무게를 실었고, 이해성(李海成) 청와대 홍보수석도 "한중 양국 정상이 다자회담 개최에 공동 노력키로 합의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결국 양국 정상은 베이징 3자회담이후 교착상태에 빠진 북핵문제를 해결을 위한 다자회담 개최의 필요성엔 뜻을 같이했으나, `확대 다자회담'이 북한에 5자 혹은 6자회담 참여를 압박하는 것으로 비쳐지는 것을 우려한 중국측 입장 때문에 공식 발표에선 `당사자간 대화'로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北京)=연합뉴스) 조복래 고형규기자 cbr@yna.co.kr marx0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