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저출생 대책 '소개팅 사업' 비판 여론에 재검토
서울시가 저출생을 해결하겠다며 미혼 청년의 만남을 주선하는 '청년만남, 서울팅' 사업을 내놨다가 재검토하기로 했다.

서울 내 직장에 다니는 만25∼39세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바리스타 수업이나 등산 등 취미 모임을 운영해 자연스러운 만남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게 이 사업의 내용이다.

시는 올해 6차례에 걸쳐 서울팅에 참여할 250여명을 모집할 계획이었다.

이번 추가경정 예산안에도 사업비로 8천만원을 편성했다.

이 사업이 알려지자 저출생의 근본 원인을 비켜나갔다는 비판 여론이 일었다.

저출생은 높은 집값이나 육아하기 힘든 환경, 여성의 경력 단절이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만큼 만남 기회만 늘려서는 해결되지 않는다는 반론이 이어졌다.

효과도 없는 사업에 세금만 낭비한다는 비판도 커졌다.

서울시의회 박강산 의원(더불어민주당)은 13일 열린 시의회 시정질문에서 "결혼해서 마주칠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며 "못 만나서 (출산을) 안 하는 게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에 오세훈 서울시장은 "일리 있는 지적"이라면서도 "(시에서는) 지적한 사항을 다 신경 쓰고 있고 그래도 출생률이 저조해 이런 것까지 하는 것"이라고 설득했다.

데이트 폭력이나 스토킹 피해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자칫 서울팅이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오 시장은 "신분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범죄경력증명서 등으로 참가자가 극단적 성향이 있는게 아니란 사실을 확인한다고 들었다"며 "미혼 여성의 경우 첫만남에 부담과 불안을 느끼는 데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오 시장의 해명에도 SNS 등에서 비판 여론이 잦아들지 않자 시는 결국 사업을 재검토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시 관계자는 15일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이나 다자녀 지원책 등 다양한 좋은 정책을 펴는데 (서울팅 하나로) 서울의 저출생 대책 전체가 의심받고 있다"며 "서울팅을 계속 추진할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