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드갈등 이후 관계증진을 꾀하던 한국과 중국이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다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은 이번 바이러스 확산에 대해 상대를 탓하기 보다는 함께 노력해 극복하고 다시 상생의 경제협력 체제 구축을 모색해야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공동 극복과 함께 꺼져가는 양국 경제성장의 불씨를 살리는 방법은 어떤 게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신인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코로나19는 석 달 만에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로 퍼졌습니다.

급증하는 확진자 숫자와 이로 인한 사회적 공포감, 여기에 경제적 타격이 주요국의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수출 가운데 중국 의존도는 2019년을 기준으로 8.9%, 이 가운데 중간재 수출 중국 의존도는 28.2%에 이르는데, 코로나19 사태가 촉발한 한-중간 경제와 관광 교류 감소는 충격적인 수준입니다.

지난 1~2월 동안 중국의 전세계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2%나 감소했습니다.

3월 1일부터 열흘 동안 한국의 하루평균 수출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5% 줄었습니다.

이미 1월 기준 한국의 관광수입은 한달 새 3,600억원 감소했고 중국발 부품 부족 사태로 국내 주요 공장들이 휴업에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바이러스와 확진자 관리 문제 등을 놓고 한-중간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것도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세계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이번 바이러스 사태와 관련해 한국과 중국은 감정싸움보다는 서로의 장점을 살려 국가적 협력으로 위기 극복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백남선 이대목동병원 국제진료센터장

"방역을 위해서는 중국이 먼저 (코로나19 사태를) 경험했고, 우리도 노력하고 있지만 서로 지식을 교환하는, 특히 백신 개발이라는 이런 부분에 있어서도 공유해야..."

한국은 예상치 않은 신천지 신도 대량 확진 발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신속 정확한 검사 시스템과 투명하고 개방적인 방역 관리, 드라이브 스루 검사 등의 시스템 도입 등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 역시 초기 대응에는 실패했지만 이후 지역통제 전략과 확실한 확진자 관리를 비롯해 신속한 병원시설 신축 그리고 인터넷 화상 진료 확대 등은 눈여겨 볼만합니다.

중국 훈춘지역의 경우 북한 중국 러시아 등 세 나라가 국경을 맞대고 있지만 단 한명의 확진자도 나오지 않아 중국내 방역관리의 모범 사례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한-중간 서로의 장점들을 참고하고 의료정보와 시스템 등의 공조체제를 이룬다면 이번 바이러스 사태를 보다 서둘러 극복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국제 협력과 산업 자동화의 중요성을 또 한번 일깨워준 계기가 됩니다.

특히 수출기업의 경우 제조업 생산라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장 물류자동화 등의 교류를 강화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이번 사태를 통해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의 취약점을 살펴보고, 한중간 협력을 통해 양국경제 공조 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겁니다.

중국과는 구체적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의료 원격진료와 의과대학간 인적 물적 교류확대, 온라인 교육콘텐츠, 클라우드 서비스 등 새로운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옵니다.

<인터뷰> 엄치성 전경련 상무(국제협력실장)

"IT라든가, 소위 말하는 4차산업혁명 분야, AI·빅데이터 이쪽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면, 그동안 지속해온 한-중경제 협력관계가 탄탄해지지 않을까. 지금 서플라인 체인상의 문제가 있는 것도 과거협력 모델 대로 해오다 보니 약점이 노출이 되지 않습니까."

우리 정부와 기업이 현 사태에 매몰되기보다는 ‘코로나19’ 이후 방역과 환경문제, 무역 공조 등 경제산업 전 분야에서 한중관계를 어떻게 발전시켜 새로운 경제도약의 발판으로 삼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한국경제TV 신인규입니다.

신인규기자 ikshin@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