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2030년까지 전기차 선도 도시로 올라서려면 현재 고집하는 순수 EV 외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의 다양한 친환경차에도 보조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게다가 제주도의 전력 수급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 운행되는 43만대의 자동차를 모두 전기차로 바꿀 경우 전력 예비율이 1.2%로 하락, 치명적인 문제를 드러낼 수 있음도 지적됐다.

제주도, EV 고집 말고 PHEV도 늘려야

15일 KB투자증권 리서치센터의 <제주도 전기차 보급계획 타당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먼저 제주도는 자동차의 하루 이용거리가 32.4㎞로 전국에서 가장 짧고, 영업용 또한 101.7㎞로 가장 낮다는 점에서 EV 이용 환경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운행되는 전기차에 비해 급속충전기의 부족은 문제로 떠올랐다. 전기차 보유 비중은 41.4%에 달할 만큼 많지만 급속충전기 보급 비중은 14.5%에 머물렀다는 것. 이에 대해 보고서는 "제주도의 전기차 보급 자체가 인프라 투자가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보조금 확대로 이뤄진 결과"로 분석했다.

실제 제주도의 경우 전기차 보조금 예산으로 2014~2020년까지 총 1조7,000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하지만 충전기 보조금의 경우 올해까지 311억원이 투입되고, 이후에는 민간사업자들이 965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보고서는 정부 투자비 중 98%가 EV 구입 보조금으로 사용되고, 충전 인프라에는 2%만 사용돼 투자의 불균형이 발생해 EV 보급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또한 전력 수급도 해결 과제로 지적했다. 보고서는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을 100%로 가정했을 때 제주도 전력 판매량은 9,775Gwh로, 이는 2030년 제주도 예상 전력 판매량의 24%에 해당된다는 점을 지목했다. 이에 따라 EV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으려면 550㎿급 발전소 1기에 해당되는 전력의 추가 필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제주도, EV 고집 말고 PHEV도 늘려야

결론적으로 제주도가 현재 계획에서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되려면 충전기 인프라 확충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2030년 이전에 추가 전력공급이 필요한 만큼 순수 전기차에 얽매이기보다 '친환경차 100%' 목표가 보다 현실적이라고 조언했다. 하이브리드, EV, PHEV, FCEV 등의 선택폭을 넓히는 게 현명하다는 얘기다. 또한 '친환경차'로 범위를 넓히면 중형 및 SUV, 버스, 상용차 등도 다양화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보고서는 현재 사용하는 전기차의 연료 경제성에 대해서도 대책을 조언했다. 먼저 EV 한 대가 월 1,500㎞ 주행 시 전력사용량은 300㎾h로, 국내 평균 가구전력 사용량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전제했다. 이에 따라 가정용 전기를 사용하면 누진제에 따라 요금이 올라간다며 정부가 올해부터 내년까지 한시적으로 전기차용 전력 기본 요금의 50%를 할인한다는 계획인 만큼 서둘러 전기차 전용 충전기 사용을 확대해야만 소비자가 누진제를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 국내 땅 밟은 중한자동차, 자동차계 '샤오미' 꿈꿔
▶ 메르세데스-벤츠, "삼성이 경쟁자라고? 글쎄…"
▶ 쌍용차, 티볼리 컨버터블 가능성은?
▶ FCA코리아, SIA 2016에 500X 전시
▶ 미니, '100대 한정' 블랙 수트 에디션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