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좋은 개살구''라는 말이 있다.

29일 ''부총리 부처''로 승격하는 교육인적자원부 직원들이 달라지는 자기 부처의 위상을 놓고 하는 넋두리다.

교사와 교육단체 등 주변에서는 교육부 직원들에게 하나같이 축하의 말을 보내 오고 있다.

오랜 숙원이 풀렸다는 것이다.

하지만 직원들의 분위기는 그렇지만도 않다.

속을 들여다 보면 걱정이 앞선다는 표정이다.

실제로 장관이 부총리로 높아질 뿐 조직은 거의 그대로다.

차관보 자리와 교육인적자원정책국이 신설되지만 인력은 늘어나지 않는다.

책임질 일만 많아졌다는 것이다.

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인적자원 관련업무를 총괄하느라 자칫하면 ''동네북''이 될 가능성만 높아졌다는 푸념이다.

실제로 일은 각 부처에서 하고 교육인적자원부는 ''조정''만 하게 돼 있다.

더군다나 인적자원 업무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갈 수 있는 ''무기''도 없다.

관련사업의 예산편성권이나 인사권이 없다는 것이다.

''부총리''라는 직함만 갖고 행정자치부와 노동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정보통신부 문화관광부 등을 떠밀고 가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인식이다.

하나같이 ''내로라'' 하는 드센 부처들이기도 하다.

관련사업도 모두 ''돈''이 걸린 일들이다.

''위엄''만으로 제압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렇지 않아도 교육부는 다른 부처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정''에 취약하다는 평을 들어왔다.

시장경제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교육''이라는 사업을 해와 ''흥정''엔 재주가 없다는게 핸디캡이다.

여기에다 교육부는 ''자기 코가 석자''다.

말 많고 탈 많은 교육개혁 문제만으로도 머리가 터질 지경이다.

과열입시난 해소, 사교육비부담 완화, 공교육 정상화, 교원사기 진작 등 수두룩한 난제를 안고 있다.

이런 정황을 보면 교육부 직원들이 교육인적자원부의 앞날을 걱정하는 것도 공연한 기우(杞憂)는 아니다.

"다음 정권에 가면 ''원위치'' 될 것"이라는 자조 섞인 말이 나올 만도 하다.

높아진 위상에 걸맞게 실질적인 ''힘''을 실어달라는 직원들의 요구를 ''과욕''으로 몰아붙일 일만은 아니라는 말이다.

이건호 사회부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