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3부자와 문제경영인퇴진문제가 현대사태해결의 최대변수로 등장했다.

현대 주거래 은행인 외환은행의 김경림 행장이 부실경영에 책임이 있는 경영인들뿐만아니라 정몽구 현대자동차회장도 퇴진해야한다고 밝혔다.

현대구조조정위원회와 자동차측은 김 행장의 발언이 원론수준인지 현대해법의 핵심요건인지 진의파악을 위해 부산하게 움직이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행장의 발언에 대해 구조조정위원회측은 "자동차에서 알아서 할 일"이라면서 담담한 반응을 보였고 자동차측은 "정몽구회장은 물러나겠다고 약속한 적이 없다"면서도 크게 당혹해하고있다.

<>정몽구 회장 퇴진문제=정몽구회장의 퇴진요구가 채권단의 물러날수 없는 요구조건으로 확인될 경우 현대사태는 원점에서 다시 풀어야할 정도로 혼미해질 전망이다.

정몽구 자동차회장의 거취문제가 부각될 경우 그동안 정부.채권단과 현대구조조정위원회(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회장측)간 "양자 줄다리"로 전개돼온 현대사태는 "3자간 쟁점"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되면 현대계열분리와 자구책등이 완전히 다시 짜져야하기 때문에 현대사태의 조기해결은 난망이다.

정부도 이날 현대에 대한 압박을 계속했지만 시장원리를 강조하는 등 채권은행과는 다른 분위기여서 현대측은 갈피를 잡을 수 없다고 불판을 토로하고있다.

진념 신임 재경부장관은 "시장을 외면하는 기업은 살아남을 수 없다"면서 현대이 조기에 자구책을 마련하도록 촉구했지만 가장 민감한 문제인 3부자 퇴진에 대해선 전혀 언급하지않았다.

<>먼저 계열분리,주식매각등 추후검토=현대는 정부와 채권단의 여러 메시지를 종합해 볼 때 "퇴진문제"보다는 "시장을 안심시키라"는데 무게가 실렸다고 판단하고 시장신뢰 회복에 초점을 맞춘 수습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동차와 중공업의 계열분리안을 먼저 내놓아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낸 다음 현대건설의 자구책과 인사문제를 제시하는 "선계열분리,후자구안 제시"방안을 검토중이다.

계열분리는 문제가 없지만 계열사간 지분정리는 문제가 많다는게 현대측 주장이다.

가장 큰 문제는 이 회사가 갖고 있는 현대상선 지분이다.

현대건설은 상선의 최대주주로 상선을 통해 다른 계열사를 지배하는 현대의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때문에 건설이 상선 등 계열사 주식을 팔게 되면 현대 계열사간 지분소유관계를 통한 연계고리가 느슨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이 경우 정몽헌회장으로선 현대그룹 전체에 대한 지배력을 사실상 잃게 된다.

정몽헌회장은 현대건설의 최대주주일뿐 현대상선과 현대전자의 지분은 각각 4.9%와 1.7%뿐이다.

현대건설이 현대상선의 지분을 매각하게 되면 현대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었던 상호출자관계가 사실상 끊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정몽헌회장이 보유 주식을 매각하게 되면 현대는 사실상 그룹해체와 다를 것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현대건설 유상증자=외환은행은 현대건설의 조기 유동성 확충방안이 미흡하면 정몽헌회장 등 대주주가 참여하는 유상증자를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회사의 주가는 현재 3천원을 겨우 넘는다.

5천원의 액면가로 증자를 할 경우 실권주가 발생할 것은 분명하다.

현대는 증자가 이뤄질 경우 정몽헌회장이 당연히 참여할 것이지만 외환은행의 요구대로 실권주를 정회장이 모두 인수하는 것은 사재출연과 다를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문희수 기자 m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