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북한 유튜버 유미의 채널 캡처
/사진=북한 유튜버 유미의 채널 캡처
북한의 체제 선전용 유튜브 채널들이 국내 접속 차단에 이어 폐쇄된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은 북한 체제를 선전한다고 알려진 송아'(샐리 파크스), '유미'(올리비아 나타샤-유미 스페이스 DPRK 데일리), 'NEW DPRK' 등 3개 채널이 폐쇄됐다고 밝혔다.

구글 측은 VOA에 "구글은 북한 관련 등 적용할 수 있는 미국의 제재와 무역 준수 법률을 지키는 데 전념하고 있으며, 당사 서비스 약관에 따라 관련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검토 후 우리 정책에 따라 채널을 폐쇄했다"고 전했다.

그렇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규정에 따라 해당 채널이 폐쇄됐는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유튜브는 약관을 통해 허위 정보를 유포하는 채널에 대해 경고와 폐쇄 등의 규정을 적용한다고 밝혀왔다. 일각에서는 북한과 관련된 허위 정보와 정책을 홍보하는 해당 채널이 이에 해당한 게 아니겠냐는 분석이다.

해당 채널에서는 젊은 여성, 어린 여자아이가 영어나 중국어로 북한 사회와 문화를 소개하는 콘텐츠를 선보여왔다. 올리비아 나타샤 계정의 '유미'와 샐리 파크스 계정의 '송아'는 유창한 영어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에 감염돼 자가격리 하는 영상 등을 공개했다. 유미는 요가 등 본인의 취미와 일상을 영어로 소개하면서 "평양이 살기 좋은 곳"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다만 이를 본 탈북민을 비롯해 북한 전문가들은 일부 특권층만 누릴 수 있는 취미 활동이나 시설 등을 선전하고 있다는 지적을 해 왔다. 이 때문에 이들 콘텐츠가 북한 고위층 주도로 고안된 체제 선전 캠페인이라는 추정도 나왔다.

유튜브는 앞서 북한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이나 '우리민족끼리' 등 채널도 약관 위반 등 이유로 폐쇄한 바 있다. 노골적인 체제 선전용 채널들이 차단되자 비교적 가볍고 부드러운 분위기의 브이로그 채널들을 등장시킨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지만 결국 이번에도 폐쇄됐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도 국정원의 요청에 따라 지난 5일 '송아'(샐리 파크스), '유미'(올리비아 나타샤-유미 스페이스 DPRK 데일리), 'NEW DPRK' 등 북한 체제를 선전해온 유튜브 채널 3개의 접속 차단을 의결했다.

방심위는 앞으로도 국가보안법 위반정보에 대해 국정원이나 경찰 등 요청이 있으면 절차에 따라 심의 후 접속 차단할 계획이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