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삼성전자 DDR5 D램 모듈용 전력관리반도체. 2021.5.18 [사진=삼성전자 제공]
사진은 삼성전자 DDR5 D램 모듈용 전력관리반도체. 2021.5.18 [사진=삼성전자 제공]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5월 가격이 전달과 동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31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5월 PC용 D램(DDR4 8Gb)의 고정거래가격은 지난 4월과 동일한 3.8달러로 집계됐다.

PC용 D램 고정거래가격은 올 1월 5.26% 오른 뒤 2개월 연속 보합세를 보이다 2분기 장기계약 시점인 지난달 26.67%나 껑충 뛰었다. 2017년 1월(35.8%)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이었다.

낸드플래시 역시 5월에는 가격 변동이 없었다. 4월에 8.57% 상승했던 메모리카드·USB향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 고정거래가격은 4.56달러를 유지했다.

D램과 낸드플래시 모두 4월의 가격 상승 영향으로 6월까진 큰 가격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올 하반기에는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내다봤다.

트렌드포스는 "3분기 서버 D램 가격 상승폭을 기존 10~15%에서 3~8%로 조정한다"며 "4분기에는 3분기와 비슷한 가격이 유지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의 이동통신 인프라 사업 착수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미국, 유럽 지역의 포스(POS) 단말기, 오락 기기 등 소비제품 수요가 늘면서 연말까지 낸드플래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1분기 매출 기준 전 세계 D램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42.0%로 1위, SK하이닉스가 29.0%로 2위였다. 낸드플래시 역시 삼성이 33.5% 점유율로 1위, SK하이닉스는 인수를 앞둔 인텔 낸드 사업부와 합산할 경우 20%대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DDR5 D램 모듈용 전력관리반도체. 2021.5.18  [사진=삼성전자]
사진은 삼성전자 DDR5 D램 모듈용 전력관리반도체. 2021.5.18 [사진=삼성전자]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