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가입자 대상 시범사업…내년 4월부턴 모든 가입자 대상

해외 여행객의 휴대전화 로밍 정보가 감염병 확산을 막기위한 모니터링에 이용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16일부터 시범운영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미래부의 '빅데이터 선도 시범사업'의 하나로 시행되며 미래부, 보건복지부, 이통사가 협업하는 정부 3.0 사업의 일환이다.

이 사업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감염병 오염국가 정보를 이동통신사에 제공하고, 이통사는 해외 로밍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입자가 감염병 오염국가에 방문했는지 정보를 질병관리본부에 전달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질병관리본부는 감염병 오염지역을 다녀온 이동통신사 가입자에게 해당 감염병의 잠복 기간에 '감염병 증상 발현 시 자진 신고(1339)해달라'는 내용의 문자를 발송하는 등 감염병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해외여행객의 오염국가 방문 정보는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를 통해 전국 의료기관과도 공유돼 일선 의료기관 의사가 환자의 여행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지난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제76조의2(정보제공요청 등) 조항이 신설됨에 따라 해외 로밍데이터 정보를 감염병 예방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먼저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SK텔레콤, LG유플러스도 관련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예정으로, 내년 4월부터는 모든 이통사 가입자를 대상으로 본사업이 시작된다.

이재호 kt 빅데이터센터 과장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kt 고객 중 80%가 해외로밍 서비스를 이용한다"며 "이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감염병명 등 관련 정보는 잠복기 추정 기간(메르스 2주, 지카 3주)까지만 보관하며, 감염병 대응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수익 목적이 아닌 kt 사회공헌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올해 6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글로벌콤팩트 총회'(UNGC Leaders Summit 2016)에서 통신사의 빅데이터가 감염병 확산을 막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유엔과 글로벌 통신사에 설명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신선미 기자 junm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