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의 영어 실력이 또다시 낙제점을 받았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를 제외한 세계 111개국 가운데 일본은 80위였다. 한국은 36위였다.
스위스 유학 전문기업 EF에듀케이션퍼스트는 111개국 210만 명의 영어 능력을 측정한 결과 일본이 475점으로 80위에 그쳤다고 28일 발표했다. 세계 평균 점수(502점)보다 27점 낮았다. 5단계로 평가한 영어능력지수에서 일본은 네 번째 단계인 ‘미흡’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아시아 24개국 가운데 14위였다.
도시별로는 도쿄(522점)와 교토(512점)가 세 번째 단계인 ‘보통’으로 평가된 데 비해 도요타자동차 본사가 있는 나고야(479점)와 규슈 중심도시 후쿠오카(470점)는 미흡 판정을 받았다. 지역별로는 간토(515점)와 간사이(512점)가 보통으로 평가받았지만 대표적인 관광지인 홋카이도(462점)와 히로시마 야마구치 등이 있는 주고쿠(463점)는 미흡 판정을 받았다.
일본 여성(487점)과 남성(463점)의 영어 실력 차이도 컸다. 연령별로는 젊은 세대일수록 영어 구사 능력이 더 떨어졌다. 31~40세의 영어 능력이 525점으로 보통 평가를 받은 반면 18~20세(408점)와 21~25세(430점)는 최하 단계인 ‘부족’ 판정을 받았다.
한국은 537점으로 36위였다. 세계 평균 점수보다 35점 높았다. 영어능력지수는 보통이었다. 한국의 순위는 아시아 국가 가운데 5위였다. 아시아 1위 싱가포르(642점·세계 2위), 2위 필리핀(578점·22위), 3위 말레이시아(574점·24위), 4위 홍콩(561점·31위) 등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거나 사용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인의 영어 실력은 사실상 아시아 최고 수준으로 평가됐다.
세계에서 영어 실력이 가장 뛰어난 나라는 네덜란드(661점)였다. 3위 오스트리아(628점) 4위 노르웨이(627점), 5위 덴마크(625점) 등 2위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상위권은 모두 북유럽과 중부 유럽 국가였다. 중국은 498점으로 62위였고, 라오스는 364점으로 꼴찌였다.
제주 카지노에 일본 이어 대만 관광객들이 왔다. 다음달에는 홍콩 직항도 열리면 카지노 업계가 본격 정상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롯데관광개발은 6일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의 초청으로 대만 언론사, 여행사, 인플루언서 등 팸투어단 52명이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에서 3박4일간 제주여행을 시작했다고 밝혔다.지난 9월말에는 200여명의 일본 인플루어서들로 구성된 메가 팸투어단도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를 방문해 2박3일간의 일정을 보냈다.제주 직항노선이 재개되면서 제주 드림타워를 경험하려는 일본과 대만 관광객들이 폭증하고 있다. 지난 11월 한 달간 외국인 투숙객은 1만665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890명) 대비 4배 이상 급증했다.지난달 18일부터 24일까지 22명에 불과하던 대만 관광객의 투숙객은 대만~제주 직항(주 2회)이 시작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일까지 7일간 203명을 기록, 9배 이상 큰 폭으로 늘었다.일본 관광객의 경우도 하늘길이 열리기 전인 지난 10월11일부터 31일까지 31명에 그쳤던 투숙객이 오사카~제주 노선(주 7회)이 재개된 지난달 11일부터 30일에는 1043명으로 수직 상승했다.롯데관광개발은 “카지노 큰손들이 많은 대만과 일본에 이어 다음 달에는 홍콩 직항노선까지 재개되면서 확실한 실적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방준식 기자 silv0000@hankyung.com
'무료 샘플'에도 평균 가격을 매겨 관세를 부과한 것은 부당하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6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A 제약회사가 서울세관장을 상대로 낸 '관세 등 부과처분 취소' 소송을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에 돌려보냈다.일본 회사에서 원료를 들여 와 국내에서 의약품을 제조·판매해온 A사는 2015년 관세조사 결과 '무상으로 수입한 물품'이 있다는 이유로 관세·가산세·부가세 총 1억8천여만원을 추가로 내야 할 처지에 놓였다.A사가 일본 회사에서 매년 수입하는 원재료의 일정 비율만큼 무료 샘플을 받아왔는데, 여기에도 평균 가격을 적용해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게 세관의 판단이었다.관세법과 관세법 시행령은 '무상으로 수입한 물품'에 대해 일반적인 방법으로 과세가격을 정할 수 없다고 보고 동종·동질 물품의 거래가격을 과세가격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A사가 과세에 항의해 제기한 소송에서 1심과 2심 모두 일본 회사가 제공한 무료 샘플이 '무상으로 수입한 물품'에 해당한다고 판단해 세관의 손을 들어줬다.반면 대법원은 "무료샘플 명목으로 지급된 물품을 '무상으로 수입한 물품'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판단을 뒤집었다. 무료 샘플이 사실상 가격 할인이라고 본 것이다.대법원은 "원고가 일본 회사와 맺은 특약은 구매 수량에 따라 비율을 달리해 물품을 추가로 공급하는 내용"이라며 "연간 구매 수량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물품이 추가 공급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원고가 계약에 따라 추가로 물품을 공급받으면 '연간 총 지급액'은 변하지 않고 '연간 총 구매 수량'만 증가하므로 실질적으로 단위당 거래 가격이 인하되는 효과가 생긴다"고 부연했다.그러면서 "추가 공급되는 물품 수량이 연간 구매 수량의 10% 이상으로 적지 않은 점까지 고려하면, 물품이 '무료 샘플' 명목으로 공급됐더라도 아무런 대가 없이 공급됐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하나증권은 6일 하나투어에 대해 2024년까지 자본잠식 우려가 없을 전망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다만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일본의 가파른 항공권 공급 회복에 따른 여행객수 회복과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정책 변화를 감안하면 내년 하반기쯤 패키지여행 수요의 완전한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실제 올해 하나투어의 11월 패키지 승객 수는 4만5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7% 늘었다. 2019년 대비로는 29% 회복한 수준이다. 월간 해외 항공권 판매 금액은 10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2% 증가했다. 월간 해외 항공권 실적이 1000억원을 돌파한 것은 2019년 이후 35개월 만이다.이 연구원은 "현재 신규 패키지 예약의 35~40%가 일본행"이라며 "늦어도 내년 3~4월(2분기)에는 월마다 10만명 이상의 여행객을 확보해 손익분기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국토교통부는 올해 연말까지 전체 항공권 노선 공급이 2019년 대비 50%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본의 경우 내년 1분기까지 같은 기간 대비 87%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내년 2분기 출국자 수가 2019년 대비 60~70%로 회복하면 패키지 여행사들의 가파른 실적 회복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또 이 연구원은 하나투어가 과거 대비 '프리미엄 상품'을 확대하면서 평균 공급단가(ASP)가 30% 내외 상승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이 연구원은 "하나투어는 구조조정을 통해 과거 패키지 수요의 70~80%까지 회복하더라도 현재 인건비를 유지할 수 있다. 현재 온라인 매출 확대를 통해 수수료율도 절감하고 있다"면서 "지난 6월 유상증자를 통해 좋지 않았던 올 2분기 실적 수준이 유지되더라도 최소 2024년까지는 자본 잠식 우려가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