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사들이 미국 배당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수수료를 낮추고 있다. 같은 지수를 추종하며 상품 간 차별화를 꾀하기 힘들어 수수료를 인하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는 분석이다.

'수수료 0.01%' 美 배당주 ETF 등장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9일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총보수를 0.03%에서 0.01%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국내에 상장된 전체 ETF는 물론 같은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전 세계 ETF 중 최저 수준이다.

미래에셋은 지난달 20일 이 ETF를 상장했는데, 한 달도 안 돼 수수료를 내렸다. 자산운용업계는 미래에셋의 수수료 인하가 같은 상품을 먼저 출시한 한국투자신탁운용(ACE 미국배당다우존스, 2021년 10월 상장)과 신한자산운용(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지난해 11월 상장)을 겨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미래에셋이 상품을 출시하자 신한자산운용은 총보수를 0.05%에서 0.03%로, 한국투자신탁운용은 0.06%에서 0.01%로 낮췄다.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는 미국의 인기 ETF인 SCHD(슈와브 US 디비던드 에쿼티)와 같은 지수를 추종한다. SCHD는 다우존스 US 디비던드 100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10년 연속 배당금 지급 △시가총액 5억달러 이상 △하루 거래대금 200만달러 이상 등의 조건을 충족한 종목을 편입한다. 경기방어주로 구성돼 변동성이 작고 꼬박꼬박 배당이 나오기 때문에 최근 국내 투자자 사이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대표,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과거 삼성자산운용에서 한솥밥을 먹었다. 국내 ETF 시장을 개척한 이들이 치열한 수수료 경쟁을 주도하고 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