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크루트 135곳 조사…산은 5000만원·신보 4953만원올해 국내 공공기관의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3천944만원으로 집계됐다.취업포털 인크루트는 '2023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에 참여한 공공기관 중 연봉정보를 공개한 135곳의 신입사원 연봉을 분석한 결과, 전일제 신입 평균 연봉은 3천944만원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작년 신입 평균 연봉(3천824만원)보다 3.1% 인상됐으며, 3년 전(3천669만원)과 비교하면 7.5% 오른 것이다.신입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IBK기업은행(5천272만원)으로, 작년(5천226만원)보다 0.9% 올랐다.이어 한국원자력연구원(5천253만원),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5천200만원), 한국투자공사(5천54만원), 산업은행(5천만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5천만원), 신용보증기금(4천953만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4천881만원), 기술보증기금(4천860만원), 한국과학기술원(4천728만원)이 10위 안에 들었다.신입 연봉을 구간별로 보면 4천만원대(43.7%)와 3천만원대(48.2%)가 대부분이었다.연봉 범위는 최저 2천700만원에서 최고 5천272만원이었다.분야별로는 금융(4천408만원)이 가장 많은 연봉을 받았다.이어 연구·교육(4천124만원), 문화·예술·외교·법무(3천858만원), 사회간접자본(3천825만원) 등 순이었다./연합뉴스
가수 민서가 드라마 '사랑의 이해' OST 여덟 번째 주자로 나선다. 민서가 가창에 참여한 JTBC 수목드라마 '사랑의 이해'이 1일 오후 6시 각종 온라인 음원사이트를 통해 발매된다. 'Miracle'은 고된 하루에 위로를 찾는 곡이다. 힘든 하루하루를 생존하기 위해 살아가는 우리들의 지친 마음이 사랑이라는 쉼으로 바뀌길 바라는 바람을 담았으며, 민서의 맑고 선명한 음색이 곡에 실린 메시지를 섬세하게 그려내며 시청자들의 귀를 사로잡는다. 특히 민서는 그토록 찾아 헤매던 모습의 기적을 바라는 노랫말을 특유의 따스한 목소리로 잔잔하게 표현해 냈다. 민서는 'Miracle'을 통해 한걸음 내딛기도 벅찬 나날 속 잠시라도 기댈 수 있는 위안을 전할 전망이다. '사랑의 이해' 여덟 번째 주자로 참여한 민서는 그동안 활발한 앨범 발매는 물론, '디 엠파이어: 법의 제국', '불가살', '얼어죽을 연애따위', '블랙독' 등 다수의 인기 드라마 OST에 참여하며 'OST 대세'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이에 민서는 짙은 감성과 뛰어난 곡 해석력으로 완성한 'Miracle'을 통해 '사랑의 이해'의 분위기를 이끌며 극의 몰입도를 배가시킬 예정이다. '사랑의 이해'는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각기 다른 이해(利害)를 가진 이들이 서로를 만나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이해(理解)하게 되는 이야기를 담은 멜로드라마다. '사랑의 이해'는 매주 수, 목요일 오후 10시 30분 JTBC에서 방송된다. 한편, 민서가 가창에 참여한 '사랑의 이해' OST Part.8 'Miracle'은 1일 오후 6시부터 각종 온라인 음원사이트에서 감상할 수 있다. 디지털이슈팀 유병철 기자 onlinenews@wowtv.co.kr
지난 4분기 실적 충격을 기록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1일 반등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1.31% 오른 6만1천800원에, SK하이닉스는 3.28% 오른 9만1천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반도체 부문의 영업이익 급감으로 전날 주가가 2∼3%대 하락한 두 종목에 대해 투자자들이 낙폭이 과대하다고 판단해 매수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날 발표된 중국의 1월 차이신/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기준선인 50을 넘지 못하면서 중국 제조업 경기 위축 우려가 부각되자 장중 상승 폭을 일부 되돌리기도 했다. 증권가는 삼성전자가 인위적 감산에 선을 그었음에도 설비투자의 연구·개발(R&D) 비중을 늘리기로 한 것은 사실상의 감산 조치라고 판단했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실적 발표 당일 3%대 주가 하락은 과도하다"면서 "단기적으로 의미 있는 비트(생산)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것은 자연적인 감산으로 탄력적인 생산 조절을 한다는 의미"라고 짚었다. 또한 삼성전자의 실질적인 감산으로 '수요 절벽'에 부딪힌 메모리 반도체 수급 개선과 시장 반등 시점이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SK하이닉스도 관련 효과를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모든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직접적, 간접적 감산에 따라 올해 업계 D램 생산 증가율은 -2%로 사상 최초의 역성장을 기록하고, 낸드 생산 증가율 역시 역대 가장 저조한 6%에 머물 것"이라며 "반도체 고객사들의 재고 조정이 일단락되면 올해의 낮은 생산 증가율은 업황 회복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