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가 복권을 6조4000억원어치 판매하기로 했다. 작년 복권 판매실적보다 4000억원가량 높여 잡은 목표다.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목돈을 노리는 이른바 ‘한탕주의’가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가 불황형 상품인 복권 판매를 늘리겠다고 나선 것이다.

30일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복권기금운용계획을 최근 확정하면서 로또복권, 연금복권, 즉석복권 등 12종의 복권 판매 예산으로 6조3903억원을 책정했다. 이는 지난해 예산 5조4358억원보다 17.6% 증가한 것이다. 작년 실제 판매 금액(5조9753억원)에 비해서는 6.9% 증가한 금액이다. 정부의 예상처럼 복권이 판매되면 올해 사상 처음으로 복권 판매액이 6조원을 돌파하게 된다.

복권 판매액을 포함한 복권기금 총수입 규모는 7조7564억원으로 예상됐다. 전년 대비 19.8% 늘어난 것이다. 연금복권 당첨금 지급준비금 회수액 4208억원, 당첨 후 1년간 아무도 찾아가지 않은 미지급 당첨금 747억원 등이 복권기금 수입으로 잡힌다.

복권 판매액과 복권기금 규모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출범 첫해인 2017년 4조1538억원이었던 복권 판매금액은 3년 만인 2020년 5조4762억원을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5조원을 돌파했다. 작년 5조9753억원으로 더 늘어난 데 이어 올해 2년 만에 6조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올해 정부의 판매 계획 금액은 2017년에 비해 53.8% 많은 것이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서도 복권 구매가 크게 늘어나는 모습이 나타났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복권 구매액은 693원으로 전년(590원) 대비 17.6% 증가했다. 2년 전인 2019년 소비 수준(550원)에 비하면 26.0% 늘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오락·문화부문 소비 금액이 전년 대비 2.2% 증가하는 데 그치고, 2년 전보다 20.9% 감소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는 평가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