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車부품사 약진 비결은…
세프라, 주말·새벽없이 민첩대응
美 GM이 원하는 '스펙' 맞춰
한온시스템, 전기차용 부품 개발
서연이화, 자율주행 전장 고급화
현대차·기아 '미래차 선점'도 한몫
국내 자동차 부품회사들이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에 속속 올라타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BMW 테슬라 등 굵직한 글로벌 완성차업체에 부품을 공급하는 회사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일부 한국 부품사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자동차 영역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미국 오토모티브뉴스가 집계하는 2020년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사 순위에선 현대트랜시스(36위→34위), 한온시스템(42위→39위), 에스엘(89위→77위), 서연이화(94위→85위) 등의 순위가 2019년보다 상승했다. 유라코퍼레이션은 78위로 신규 진입했다.
전문가들은 신속한 부품 공급, 전기차 부품으로의 전환, 자율주행차 맞춤형 부품 납품 등을 한국 부품사의 경쟁력으로 꼽는다. 국내 완성차에만 의존해선 안 된다는 절박함도 해외 진출의 동력이 됐다.
○주말에도 새벽에도 즉각 대응한다
충남 아산에 공장을 둔 차량용 플라스틱 소재업체 세프라가 미국 GM 본사와 거래를 틀 수 있었던 요인은 긴밀한 대응이다. GM은 지난 2~3월 미국 텍사스 한파로 현지에서 플라스틱 소재를 조달할 수 없게 되자 한국GM을 통해 세프라에 연락했다.
세프라는 GM 본사가 있는 미국 디트로이트와 13시간 시차에도 불구하고, 주말과 새벽을 가리지 않고 즉각 대응했다. 긴급 항공편을 이용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2000t의 플라스틱 소재를 실어 보냈다.
GM이 원하는 ‘스펙(사양)’을 발 빠르게 맞춘 것도 성공 요인이다. 세프라 50여 명의 직원 중 20명에 달하는 연구직이 신속하게 대응한 덕이다. 메리 배라 GM 회장도 감사 이메일에서 “주말, 휴일에도 상관없이 연락에 응해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전기차용 부품 전환 성공
전기차 맞춤형 부품을 개발한 것도 경쟁력 강화 요인이다. 한온시스템은 전기차에 꼭 필요한 히트펌프, 전동 컴프레서 등 차량 열관리(공조) 분야에서 글로벌 ‘빅2’ 업체로 꼽힌다. 전기차 관련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선제적으로 투자한 결과다. 이 회사는 전기차 공조 부품 공장을 세계 곳곳에 세우기도 했다. 인수합병(M&A) 시장에서 한온시스템의 몸값은 최대 8조원까지 뛴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부품업체들의 주 납품처인 현대자동차·기아가 미래차 사업을 선도하고 있는 것도 협력 부품사의 경쟁력을 높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이오닉 5 등 차세대 전기차에 부품을 납품한 기록이 있는 부품사 다수는 해외 자동차업체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다고 한다.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현대차그룹의 부품 계열사와 거래하고 싶다고 제안하는 해외 완성차업체들도 최근 부쩍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자율주행차 맞춤용 부품 개발
자율주행차 기술 진전은 한국 부품업체엔 새로운 기회라는 분석이다. 에스엘은 지난 1분기 기준 국내 헤드램프의 68.3%를 점유하고 있는 램프 전문 기업이다. 단가가 높은 LED(발광다이오드) 램프가 차량 곳곳에 쓰이면서 주문량이 늘고 있다. 에스엘 관계자는 “자율주행시대를 대비해 램프에 전방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삽입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며 “시동을 걸 때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도 개발해 수주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만도는 자율주행 레벨4에 필요한 4D 레이더 기술 개발에 주력하는 등 첨단운전자보조(ADAS) 영역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다. 오는 9월 자율주행 사업을 분사해 투자 규모를 늘려 2025년엔 매출 9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기존 부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업도 많다. 도어트림 등 내장재를 생산하는 서연이화는 열을 내리는 근접 공조 시스템을 도어 트림에 부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서연이화 관계자는 “내장재의 부가가치가 갈수록 올라가고 있어 사양산업이 아니라 성장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기반 모빌리티 기업 엠블이 테조스(XTZ)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동남아시아 승차 공유 서비스 '타다(TADA)'의 데이터 비즈니스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고 14일 밝혔다.엠블은 지난 2018년 타다를 출시해 동남아시아에서만 1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했다. 최근에는 E-툭툭, E-바이크 등 전기 자동차 제조 및 공급을 시작하며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테조스는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시가총액이 약 2조 5000억원에 달하는 가상자산 '테조스'의 개발 및 운영을 맡고 있다. 우경식 엠블 대표는 "테조스와의 파트너십으로 엠블이 데이터 비즈니스를 확장하기 위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며 "엠블은 테조스와 함께 타다의 데이터 비즈니스를 더욱 가시화할 것"이라고 말했다.테조스의 아시아 지역 책임자인 데이비드(David Shin)는 "동남아시아 최고의 모빌리티 회사 중 하나인 엠블과 협력하게 돼 기쁘다"며 "개개인들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데이터를 더 잘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bigzero@hankyung.com
울산시가 오는 30일까지 미래 자동차 부품 관련 기업 지원 공모를 한다. 공모 대상은 미래차 전력·전자 기술융합형 부품을 개발하거나 해당 부품 분야로 사업을 전환하려는 울산지역 중소·중견기업이다. 선정된 기업에는 기술개발비로 기업당 최대 6000만원, 시제품 제작 비용으로 3000만원까지 지원한다.
현대자동차가 준중형 세단 아반떼의 고성능 모델인 ‘아반떼 N’을 14일 공개했다. 시속 100㎞까지 5.3초 만에 주파할 수 있는 강한 주행 성능을 지닌 ‘일상의 스포츠카’ 콘셉트다. 월드랠리챔피언십(WRC) 경주차에 적용된 ‘전율 기능 통합형 액슬’을 브랜드 최초로 장착하는 등 총 43가지 성능이 강화됐다. 판매 가격은 3212만~3399만원이다. 현대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