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보고서…"소재·부품·장비 일본 의존도도 하락"

다음 달 1일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10주년이 되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그간 FTA 덕분에 일본 등 경쟁국보다 EU 시장 선점 효과를 크게 누릴 수 있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펴낸 '한·EU FTA 10주년 성과와 시사점'에 따르면 2011년 7월 1일 FTA 발효 후 우리나라는 자동차, 배터리, 화학제품 등의 품목에서 수혜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는 EU 관세가 철폐되면서 2019년 84억달러어치를 수출했다.

이는 2010년 33억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보고서는 "내연기관 차량은 현지 생산이 늘면서 2017년 이후 수출이 감소했지만, 전기차 수출이 2017년 2억달러에서 지난해 46억달러로 급증하며 자동차 전체 수출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리튬이온 배터리도 FTA 발효 즉시 관세가 철폐돼 경쟁국들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수출이 꾸준히 늘었다.

다음 달 1일 한·EU FTA 10년…"자동차·배터리 등 수출 수혜"
화학제품 수출도 2010년 12억달러에서 지난해 71억달러로 연평균 19.2%씩 늘었다.

특히 배터리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 수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농산물은 여전히 EU로부터 수입이 훨씬 크지만, 지난해에는 FTA 발효 전 대비 125%나 증가한 4억5천만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주로 한국산 참치, 버섯, 김치 및 조미 김, 음료 등이 FTA 관세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한·EU FTA는 소재·부품·장비의 수입처 다변화도 기여했다.

2010년 한국의 일본 소재 수입 비중은 32.6%, EU 소재 수입 비중은 10.1%였다.

FTA 발효 뒤에 일본 수입 비중이 지난해 기준 20.8%까지 하락했지만, EU 수입 비중은 13.6%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FTA 발효 이후 EU의 프리미엄 소비재가 우리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우리 기업들이 기술, 품질, 디자인 등 비가격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무역협회 홍정완 수석연구원은 "최근 EU가 환경·인권 기준을 높이고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는데, 이 또한 우리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일본, 싱가포르, 베트남이 EU와 FTA를 맺으면서 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은 FTA를 더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역협회는 한-EU FTA 발효 10주년을 기념해 1일 오후 4시 온라인 콘퍼런스를 열고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전망을 공유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