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단기금리(은행간 하루짜리 콜금리)를 근 40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연2.5%로 낮춤에 따라 유럽을 비롯한 다른 선진국들의 동조금리인하가 또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금리인하는 미국 경기가 이미 침체기로 빠졌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면서 월가에서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였던 예고된 조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일 다우존스지수가 1.3% 오르는등 월가는 이번 조치를 대환영했다. 이번 조치로 내년초쯤에는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돌기도 했다. 올들어 9번째 단행된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금리인하는 미국의 경기침체가 세계경제의 동반침체를 몰고올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불식시키기위한 조치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관련,이번주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선진7개국(G7) 재무장관회담에 관심이 쏠려 있다. 미국의 금리인하조치에 다른 국가들이 어떻게 반응할지,G7 재무장관들이 어떤 정책적인 공조를 이뤄낼지에 세계경제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테러직후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를 좇아 유럽 일본등이 금리를 내렸듯이 이번에도 상당수 국가들이 동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이 0% 가깝게 금리를 내렸음에도 10년 불황의 터털을 빠져나오지 못한 것 처럼 미국도 자칫하면 "유동성 함정"에 빠질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아무리 금리를 내려도 소비자들이 소비를 늘리지 않아 경기침체가 장기화될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없는 것은 아니다. 이에따라 추가 경기부양대책이 언제 어느정도의 규모로 나올지가 또다른 관심사다. 미국 정부는 테러참사 직후 대대적인 경기회복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됐지만 3주일이 지나도록 윤곽을 잡지 못하고 있다. 금리를 내리는데는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그린스펀 의장이 경기부양을위한 재정정책은 신중해야 한다고 견제하면서 행정부와 의회간에 부양대책의 내용과 규모를 놓고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의회지도자들과 만나 경기부양대책에 관한 3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경기부양대책의 규모는 미국의 소비자와 기업들의 불안심리를 안정시킬수 있는 수준 이상이어야 하지만 그렇다고 재정수지를 장기적으로 악화시킬수 있는 범위로 확대돼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또 잇단 감원으로 일자리를 잃고 있는 근로자들을 구제할수 있는 내용도 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원칙에 따라 이번주말께는 추가 경기부양대책이 발표될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글렌 허바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도 이날 의회에서 "미국 경기는 이미 침체에 빠졌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발언,곧 부양대책이 발표될 것임을 시사했다. 의회지도자들은 테러참사 복구및 항공산업에 대한 구제금융으로 이미 5백억달러 이상 지출이 확정된 만큼 경기부양을 위한 추가 감세및 재정지출확대용으로는 4백50억-5백억달러가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고광철 특파원 g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