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5일 근무제를 기업규모에 따라 연차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산업계가 이에 따른 파장을 분석하고 대비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재계는 이 제도의 도입을 무조건 반대하기보다 휴가.휴무일수 단축을 전제조건으로 근무형태 및 대외업무체계와 같은 인사시스템을 전면 재검토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이미 토요격주 휴무제를 시행중인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추가비용 부담문제만 해결되면 단기간에 주5일 근무를 시행해도 큰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소.영세기업들은 단계적으로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더라도 과도한 인건비 부담 때문에 임금이 낮은 중국 등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는게 차라리 낫다며 여전히 강력 반발하고 있다. 중앙 부처및 일선 행정기관의 공무원들과 금융기관 종사자들이 이르면 2003년부터 주5일 근무에 들어갈 경우 이들 기관과 업무를 처리하는 기업들도 자연스럽게 근무패턴을 따라갈 것으로 보인다. 3조3교대가 자리잡은 생산현장에서는 1개조(휴무.재교육조)를 늘려 4조3교대로 바꾸는 곳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사무직들도 토요일 오전 한 때 출근했다가 개인적인 볼 일을 보는 등의 경제적인 낭비는 사라질 것으로 기업들은 기대했다.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지금도 사무직은 연월차를 쓰는 토요격주 휴무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수출부서 등은 급한 일이 있으면 토요일에도 출근하기 때문에 업무에 큰 지장은 없다"며 "문제는 기업이 추가인건비를 어떻게 부담하느냐"라고 말했다. 종업원 1천명 이상의 대기업들은 2,3년 정도의 준비기간을 주면 생산직을 포함한 전 직원들에게 주5일 근무제를 완전 정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기업과 달리 중소.영세기업이나 인건비 비중이 큰 전자 식품 조립기계 화섬 등의 업체들은 늘어나는 비용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설비 해외이전을 검토중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주5일 근무에 따른 기업의 인건비 증가액이 15%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인건비 부담에 대한 노사마찰의 소지가 다분하다. 경총 김영배 전무는 "법정근로시간 단축은 현 경제여건을 고려할 때 시기상조"라며 "주5일 근무제에 대해 노사합의가 이뤄지려면 충격이 큰 중소.영세업체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