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응답 연구소장들은 남북경협이 중장기적으로 남북한 산업구조의 보완적 특성에 따른 경제성장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업들의 투자로 국내 경기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물가상승에 대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는 경고도 있다.

소수의견이긴 하지만 "당장 눈에 보이는 특수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보수적인 예측도 나와 주목을 끈다.

가장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제협력 분야는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그밖에 농약 비료 등 화학, 섬유 신발 등 경공업, 중소기업 부문 등이 꼽혔다.

경협규모에 대해서는 다수 연구기관이 예측을 유보한 가운데 연간 10억달러(1조원) 수준이라고 내다본 곳이 2곳, 최소한 그 이상이라는 응답이 1곳, 향후 5년간 50억~1백억달러라는 예측이 1곳이었다.

남북경협의 걸림돌은 결국 "돈문제"와 북한의 (경직된) 체제와 개혁.개방에 대한 태도(지속성 등) 문제로 요약됐다.

이들 문제의 해결책으로 <>남북경협이 북한경제에도 실익이 됨을 설득하는 것 <>원칙에 따른 꾸준한 접근과 일관성유지 <>평화공존확립과 상호신뢰회복 <>북한의 국제사회 자금활용방안 모색 <>선진국정부와 정책공조강화 <>북한의 자발적인 개방과 체제전환 유도 및 자금조달방안 마련 <>정부와 민간기업의 협의 조정 네트워크 구축 등의 방안이 개진됐다.

허원순 기자 huhws@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