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의 날(29일, 매년 10월 마지막주 화요일)은 본격적인 경제개발을 위한
내자동원 극대화를 위해 지난 64년 제정됐다.

총저축률과 국내 총투자율은 아직 경쟁국보다 높지만 총저축률이 국내
총투자율을 밑돌고 있어 저축률 제고가 시급한 실정이다.

저축의 날을 맞아 저축의 의미및 저축률 추이, 금융저축 동향을 살펴본다.

<< 편집자주 >>

=======================================================================

[[[ 저축과 저축율 ]]]

저축이 경제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사실은 경제이론과 경험 양면에서
입증된다.

저축은 일정기간동안의 실물경제활동의 결과로 얻어진 소득 또는 생산액
중에서 필요한 부분만큼 소비하고 남은 부문을 의미한다.

이론적으로 저축의 증가는 국내 투자의 증가로 연결되고 이는 자본의
축적을 통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의 원천이 된다.

만약 국내 투자가 국내 저축에 의해 충당되지 못할 경우 해외차입 증가로
경상수지 악화가 초래된다.

특정국가 국민경제의 저축수준을 한눈에 볼수 있는 총저축율은 국민가처분
소득에서 최종소비지출을 뺀 금액을 국민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백분율을
말한다.

우리 경제의 총저축율은 지난해 36.2%로 92년(34.9%)이후 3년째 높아지고
있다.

이같은 저축율은 88년(35.3%)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

이는 지난해 일본(30.4%) 대만(27.3%) 독일(21.8%) 등 경쟁국보다도 높다.

그러나 결코 안심할 때가 아니다.

무엇보다 90년이후 지난해까지 총저축률이 국내 총투자율을 밑돌면서
동전의 앞뒤면과 같이 경상수지 적자를 동반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지난 88년만해도 저축률은 투자율보다 8.2%포인트 높았다.

89년 이 격차가 1.8%포인트로 줄어들자 경상수지 흑자폭도 50억5천만달러로
88년에 비해 64.3% 격감했다.

저축율이 투자율과 같았던 지난 93년에야 경상수지가 3억8천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정부가 최근 비과세 가계장기저축상품및 세액공제 근로자 주식저축상품
신설을 허용한 것도 세금혜택이라는 미끼를 통해 과소비현상을 둔화시켜
수입수요를 줄이며 국내 투자재원을 확대하겠다는 정책판단에 따른 것이다.

다른 문제는 총저축률이 이 정도 수준이나마 유지하고 있는 것은 공공부문
저축증가에 힘입고 있기 때문이란 점이다.

총저축률중 민간저축율은 지난 91년 28.3%에서 92년에는 27.1%, 93년
26.7%, 94년 26.0% 등으로 매년 낮아졌고 상대적으로 사회간접자본투자 등
공공부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금융자산 증가액을 개인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백분율인 개인금융저축율
의 경우 지난 95년 29.9%로 94년(33.0%)보다 3.1%포인트 낮아지는 등 90년대
들어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다.


[[[ 금융저축 동향 ]]]

90년대이후 국내 금융저축은 정부의 강력한 투기억제정책및 물가안정기조의
정착, 금융부문의 자율화 진전 등에 따라 연평균 20%대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월말 현재 금융저축 잔액은 6백96조2백78억원으로 반년만에 10.8%
늘어났다.

지난 21일부터 시행되는 가계장기저축상품이 일주만에 6천9백85억원의
불입액을 기록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어 하반기 금융저축 잔액증가율은
예년수준을 능가할 전망이다.

금융권별 구성비를 보면 저축성예금 비중은 지난 84년 35.0%에서 지난 6월
에는 18.1%로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금전신탁은 이 기간중 4.5%에서 24.2%로, 투자신탁은 8.7%에서
10.0%로, 주식은 5.8%에서 7.5% 높아졌다.

이같은 현상은 금융자산 규모가 커짐에 따라 투자자들의 금리민감도도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금전신탁 등 비은행권 상품에 자금이
몰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도시가계 저축 동향 ]]]

통계청이 지난 2.4분기를 기준으로 조사한 도시 근로자 가구의 한달 평균
소득은 203만9,000원.

식구가 3~4명이고 이중 1~2명이 돈을 버는 평균적인 도시 서민 가구의
모습이다.

소득중 직장에서 일한 댓가로 받은 근로소득은 173만6,000원.

나머지는 사업이나 부업 기타 소득이다.

이 가운데 155만8,000원을 각종 명목으로 써버렸다.

식료품비가 37만6,000원으로 지출비중이 가장 높았다.

교통통신비 17만6,000원, 교육비 11만4,000원, 피복신발비 10만7,000원
등의 순서다.

남는 금액은 48만원.

흑자율은 26.3%, 평균소비성향은 73.7%인 셈이다.

도시 근로자 가구의 흑자율이 지난해 2.4분기에 29.5%, 94년 2.4분기에
29.7%를 기록했던 것에 비하면 흑자율은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평균소비성향은 그 반대로 계속 높아지고 있다.

버는 것보다는 쓰기에 바빴다는 얘기다.

특히 지난 1년동안 늘어난 지출금액이 소득 증가분을 웃도는 현상이
처음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소득보다 소비가 더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끝내는 적자가계부를 기록하게 된다.

< 최승욱.김성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30일자).